최근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학교 신설과 폐교라는 두 가지 금기를 피해가는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변진경 기자
학생 수 과밀과 과소가 공존하는 지역에서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무작정 과밀 지역에 학교를 더 지을 수도 없고 과소 지역에 학교를 없앨 수도 없다. 때문에 최근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학교 신설과 폐교라는 두 가지 금기를 피해가는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첫 번째는 이동형 조립식 건물 ‘모듈러 교실’ 설치다. 학교 신설이나 증축 공사 없이 공장에서 제작해 학교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며 향후 학생 수가 감소했을 때에도 철거가 용이하다. 학생 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 과대·과밀 학교들에서 속속 도입하고 있다. 2023년 2월 기준 전국에 모듈러 교실 213동이 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교실’이라는 인식 때문에 도입이 무산되기도 한다.
특히 지난 5월부터 교육부가 학교 이전이나 통폐합에 따른 학교 신설 시 중앙투자심사를 면제해주기로 한 뒤부터 학교 재배치 사업이 지자체별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또한 교육청들은 과밀 학교 학생들이 원할 경우 다소 원거리의 과소 학교에도 통학할 수 있도록 근거리 학교 배정 원칙을 깨는 정책도 도입하고 있다. 자유통학구역, 광역통합구역제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이른바 ‘학군지’ 학교에는 과밀 문제가, 구도심 학교에서는 과소 문제가 점점 짙어지는 현상은 서울도 마찬가지로 겪고 있다. 지난해 기준 학급당 28명 이상 과밀 학교가 237개교인 동시에 학생 수 240명 이하 소규모 학교도 119개교로 집계됐다. 최근 5년 동안 서울시에서 4개 학교가 폐교했고 향후 3년간 6~7개 학교 폐교가 더 예정되어 있다. 서울시교육청에서는 ‘도심형 분교’라는 해결책을 검토하는 중이다. 소규모 분교 형태의 학교를 과밀과 과소, 원거리 통학의 문제가 나타나는 세 가지 유형에 모두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 들어선다···‘경기행복주택’ 준공국내 최대 높이인 13층 규모의 모듈러주택이 경기 용인시에 들어선다. 건축법상 13층 이상 건물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분 뉴스정복] 겁줘서 라면값 50원 깎기, 이것이 윤석열의 '자유'라면 값 50원 내렸다. 이게 윤석열이 말하던 자유민주주의냐는 말이 나온다. ✔ 자세한 기사 보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킬러문항 기준 모호'…교육부 발표에도 교실 혼란 여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정진 이미령 이율립 최윤선 기자=교육부가 26일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의 예를 공개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노총 “정부 노동탄압 맞서 투쟁”…도심 대규모 집회·행진노동계가 오늘(27일) 윤석열 정부의 노동 탄압에 맞서겠다며 투쟁 강화 방침을 선언했습니다. 한국노총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폼페이 벽화에 ‘파인애플 피자’가?…2천년 거슬러 간 ‘토핑 대전’🍕+🍍: 내가 옳았다 폼페이 고대 로마 유적에서 ‘피자’와 비슷해 보이는 음식이 그려진 벽화가 발견된 뒤 그림 속 음식이 진짜 피자인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림에 있는 파인애플 모양의 과일도 관심을 불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