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청소기 시장 성장 가능성을 인지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중국 경쟁 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보안, 위생, AS 기능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시장 성장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 삼성전자 와 LG전자 는 로봇청소기 출시가 다소 늦어졌다. 삼성전자 는 지난해 4월 올인원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을 출시했고, LG전자 는 같은해 8월 올인원 로봇청소기 ‘LG 로보킹 AI 올인원’을 출시하며 경쟁에 가세했다.앞서 미국 소비자 매체 컨슈머리포트 등이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에 참여한 기업들 제품을 조사한 결과 중국 에코백스 로봇청소기 가 ‘최악의 보안 제품’으로 선정됐다. 해킹 대회 ‘데프콘’에서도 중국산 로봇 청소기가 해킹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LG전자도 엄격한 품질·보안 기준을 적용한 점을 내세우고 있다. 최고 수준의 보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제품에 LG 표준 보안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했다.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돼 외부의 불법적인 유출 등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전국에 약 120곳의 AS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사후 서비스에도 강점을 보인다. LG전자는 가전 구독 서비스로 로봇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반도체 국가핵심기술 중국에 넘어갈 뻔... '디지털 지문'에 딱 걸려국내 최대 규모 반도체 제조사의 초고난도 세정장비 기술을 중국에 팔아넘기려 한 일당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다. 범행을 부인하던 이들은 첨단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휴머노이드 로봇 붐에 국내 로보틱스 주목CES 2025를 계기로 사람과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로보틱스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엔젤로보틱스 등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에 본격 진출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최대주주로 선정하여 미래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한다. AI 기술과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휴머노이드가 미래'…삼성·LG전자가 밝힌 로봇 전략(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강태우 기자=로봇 사업에 뛰어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이 궁극적인 사업 방향이라는데 뜻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로봇, 2025년 산업계를 주도할 열망글로벌 빅테크와 대기업들이 로봇, 특히 휴머노이드에 눈을 떼지 않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엔비디아 등의 투자와 CES 2025에서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로봇 산업은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삼성전자 등의 투자가 국내 로봇 산업의 본궤도 진입을 이끌 수 있습니다. 중국 업계의 움직임도 뜨겁고, 세계적인 로봇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라톤까지 뛰는 중국 ‘톈궁’, 일본은 제조용 로봇 치중시나뉴스에 따르면 중국 선전시의 중칭로봇테크가 만든 ‘SE01’ 로봇은 현존하는 로봇 중에 인간과 가장 유사한 걸음걸이를 가졌다. 한국무역투자공사(KOTRA)에 따르면 중국은 2021년 ‘스마트제조 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스마트 모바일 로봇, 반도체 로봇, 협업 로봇, 자기적응 로봇 등 신형 장비 발전 촉진 방안을 수립했다. 중국 인민망연구원이 2023년 11월 발표한 휴머노이드 기술 특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특허 출원 건수는 누적 6618건으로, 2위 일본(6058건)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