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를 계기로 사람과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로보틱스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엔젤로보틱스 등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개막인 7일 오전(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글로벌 기자간담회가 열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루 호텔 엔비디아 전시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유니트리 G1이 관람객과 악수하고 있다. 2025.1.8 [email protected]이달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 CES 2025 '를 계기로 사람과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박찬솔 SK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휴머노이드 시장은 아직은 명확한 선두 업체가 없는 상황으로, 국내 대기업들이 충분히 경쟁해볼 수 있는 인적자원이나 자체 기술이 있다고 판단하면서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 이후 전날까지 국내 증시 대표 로봇 관련 종목인 레인보우 로보틱스 는 51.8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24일 LG전자는 이날 하루에만 20% 가까이 올랐고 연초 이후 상승률은 134.70%에 달한다. 이외에도 LG전자의 투자를 받은 엔젤로보틱스(26.31%), SK텔레콤·쿠팡·GS리테일 등의 투자를 받은 씨메스(15.83%)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력하는 부품사 에스피지, 한미연합으로 개발한 사람과 감성교류가 가능한 '마인드봇'을 공개한 유진로봇, 실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보유한 클로봇, 재활로봇을 자체 개발해 수출 중인 피앤에스미캐닉스 등에도 주목하고 있다. 로봇 관련 종목을 담은 상장지수펀드(ETF)도 준수한 수익률을 냈다. 'K0DEX K-로봇액티브 ETF'는 연초 이후 15.27% 올랐고 'RISE AI&로봇 ETF'도 11.79% 상승했다. 다만 국내 로보틱스 산업이 아직까지는 글로벌 무대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만큼 아직은 글로벌 시장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 아직 산업용 로봇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의 노동 생산성 향상이 주를 이루고 점차 협동로봇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이상수 iM증권 연구원은'상대적인 투자 매력도는 국내 휴머노이드 업체가 가장 높겠지만, 상장 업체가 많지 않은 만큼 정밀감속기, 엔코더, 엑츄에이터 등 주요 소부장 업체 중 휴머노이드 공급망 편입 가능성이 높은 업체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JSA' 주역 다시 한자리에…박찬욱·이병헌·송강호·이영애 G
휴머노이드 로봇 CES 2025 로보틱스 투자 증주 레인보우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가전전시회, 휴머노이드 로봇부터 AI 바리스타까지 '인공지능 시대'의 로봇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부터 AI 바리스타까지 다양한 로봇들이 전시돼 인공지능 시대의 로봇 기술 발전을 보여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에 본격 진출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최대주주로 선정하여 미래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한다. AI 기술과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자 테마 겹친 코스닥 종목 상한가, 삼성전기·LG이노텍도 강세CES 2025 기대감으로 자율주행, 로봇, 양자컴퓨팅 관련 기술주 상승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AI·디지털헬스·모빌리티 주목CES 2025 개막 앞두고 증권가, 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관련 기업에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ES 2025, 'S∙N∙A∙K∙E' 키워드로 미래 산업 트렌드 예고삼정KPMG, CES 2025 현장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네트워킹, 인공지능, 키네틱, 에너지 분야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iz-inside,China] 2025년 中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원년 될까...시장 선점 경쟁 '치열'기관은 중국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속도를 높이며, 양산 원년에 진입해 상업화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민성(民生)증권의 보고서는 테슬라, 엔비디아, 화웨이 등 선두 기업들이 로봇 산업에 박차를 가하면서 올해 휴머노이드 로봇 대량 생산의 원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러쥐는 이것이 풀사이즈 휴머노이드 로봇이 대량 생산 및 인도라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