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반도핑기구 '피겨 스타 발리예바 도핑 잘못 · 과실 없다' SBS뉴스
세계도핑방지기구는 14일"발리예바가 반도핑 규정을 위반했더라도 그에게 잘못 또는 과실의 책임이 없다고 사건을 조사해 온 RUSADA 징계위원회가 결론내렸다"며"이에 따라 RUSADA 징계위는 발리예바의 도핑 샘플을 수집한 2021년 12월 25일 당시 대회의 결과만 무효로 처리했을 뿐 발리예바에게 어떤 징계도 내리지 않았다"고 14일 홈페이지에 공지했습니다.
이어"RUSADA 측에 이런 결론에 이른 모든 자료의 제출을 요구했고, RUSADA의 결정이 WADA 규정에 부합하는지 검토할 예정"이라면서"잘못 또는 과실이 없다는 결정에 우려를 나타내며 적절하게 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WADA는 RUSADA가 발리예바 사건의 조사를 차일피일 미루자 지난해 11월 RUSADA의 조사 결과와 관계없이 CAS에 RUSADA와 발리예바를 제소하고 발리예바의 선수 자격 4년 정지 징계와 함께 양성 반응 검체 채취일인 2021년 12월 24일 이후 발리예바의 모든 대회 성적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발리예바는 지난해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에 2021년 12월에 제출한 소변 샘플에서 금지 약물 성분인 트리메타지딘이 검출돼 파문을 일으켰습니다.발리예바는 도핑 샘플에 할아버지의 심장약 치료제 성분이 섞인 탓에 약물 양성반응이 나왔다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그러나 비판이 쇄도하자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발리예바를 앞세운 러시아올림픽위원회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 단체전 금메달 수여와 시상식을 전면 취소하고 발리예바 사건이 마무리될 때까지 이를 미루기로 했습니다. 발리예바 사태가 베이징 동계올림픽 최대 추문으로 번지자 CAS는 당시 대회 기간 긴급회의를 열어 발리예바가 약물 복용 자기 주도권이 없는 만 16세 이하 미성년자라는 점을 들어 여자 싱글 경기에 정상적으로 출전하도록 해 논란을 부추기기도 했습니다.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 단체전 은메달을 차지한 미국이 지금도 러시아와 발리예바에게 가장 강경한 태도를 고수 중입니다.트래비스 티거트 미국도핑방지기구 위원장은 로이터 통신에 보낸 서면 답변서에서 반도핑 체계의 신뢰성을 수호하고 모든 선수의 권리를 공정하게 보장하려면 WADA와 국제빙상연맹이 RUSADA의 이번 결정에 즉각 공동으로 제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피 토하듯 기침하더니...' 1세대 스타강사 문단열 충격 근황 | 중앙일보1세대 스타 영어강사 문단열씨가 근황을 공개했습니다.\r영어강사 문단열 근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용태, '엄마카드 정치' 장예찬에 '마세라티 자랑하더니' | 중앙일보'웃을 일이 많이 없는 요즘 장예찬 후보의 응석 부리는 모습을 보며 웃는다'\r김용태 장예찬 엄마카드 마세라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원 “용산 대통령실은 집회금지 장소 아니다”…경찰 제동법원이 ‘용산 대통령실’ 앞은 집회 금지장소가 아니라 집회가 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대통령실 집시법 🔽 서울행정법원 판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드컵 스타' 조규성 '유럽 진출 시점은 고심…최종목표는 EPL'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깜짝 스타'로 떠오른 프로축구 K리그1 전북 현대의 스트라이커 조규성이 유럽 진출에 관해 자신의 생각을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드컵 스타' 조규성 '유럽 진출 시점은 고심…최종목표는 EPL' | 연합뉴스(완주=연합뉴스) 안홍석 기자='유럽 진출 시점은 고심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그렇듯, 최종 목표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명 중 6명, 교과과정 ‘5·18 민주화운동’ 삭제 잘못국민 10명 중 6명이 정부가 교육과정에서 ‘5·18 민주화운동’ 용어를 삭제한 것에 대해 ‘잘못된 결정’이라고 했다.13일 뉴스토마토가 여론조사기관 미디어토마토에 의뢰해 지난 9~11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1.7%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5·18 민주화운동’ 용어를 삭제한 것에 대해 ‘잘못된 결정’이라고 답했다. ‘옳은 결정’이라는 답변은 26.4%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유보층은 11.9%로 나타났다.지난해 12월 교육부 장관이 확정·고시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