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Siberia)는 러시아의 지리적 중앙부 지역을 통칭한다. 한국에서는 '춥고 척박한 오지'의 대명사처럼 널리 알려져 있다. 광대한 러시아 국토의 77% 정도를 차지하는 시베리아는, 흔히 추운 기후 때문에 버려진 땅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러시아를 부국으로 만든 경제적 원천을 품은 기회의 땅이기도 했다...
시베리아는 러시아의 지리적 중앙부 지역을 통칭한다. 한국에서는 '춥고 척박한 오지'의 대명사처럼 널리 알려져 있다. 광대한 러시아 국토의 77% 정도를 차지하는 시베리아는, 흔히 추운 기후 때문에 버려진 땅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러시아를 부국으로 만든 경제적 원천을 품은 기회의 땅이기도 했다.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하던 시베리아가 역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시점은, 러시아가 루스차르국 시대이던 16세기 후반부터다. '뇌제' 이반 4세가 버려진 땅 시베리아가 주목하게 된 계기는 바로 '검은 황금'으로 불리던 모피 때문이었다. 여기에 16세기 들어 절정에 달하여 200여 년간 전 세계에 지속된 '소빙하기'가 찾아오면서 모피 소비에도 큰 변화가 발생한다. 극심한 추위에 시달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상류층과 서민을 막론하고 방한 의류를 구해야만 했고 자연히 모피의 수요가 크게 높아지게 된다. 이 당시 러시아에서 모피 무역은 국가 재정의 약 10-30%를 차지할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모피 무역에서 얻은 수익이 러시아 경제의 강화에 큰 역할을 할 정도였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반 4세의 뒤를 이은 아들 표트르 1세는 이제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을 거치지 않고 직접 시베리아를 관리하기로 결정하고 대규모 원정군을 파병하기에 이른다. 국가 주도로 모피를 약탈하기 위한 군대가 공식적으로 결성된 것이다.모피 원정군은 시비르 칸국을 완전히 멸망시킨 후 동쪽으로 계속 진군을 이어가며 각지의 시베리아 원주민들을 강제로 복속시켰다. 처음에는 순진하던 주민들을 기만하여 모피를 챙기던 러시아는 목표했던 수량이 부족해지자 본색을 드러냈다. 러시아는 무력으로 야사크 제도를 도입하여 원주민들에게 일정량의 모피를 세금으로 강제 공납하게 했다.
이러한 러시아 모피 원정대는 의외로 한국사와도 인연이 있었다. 17세기 조선과 청나라 연합군의 나선정벌은 바로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원정대와 두 차례 교전했던 사건이었다. 당시 조선의 조총 부대가 맹활약을 펼치며 조청연합군은 러시아 원정대의 남진을 막아내고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국경을 확립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영상] 러시아가 러시아 스텔스 드론을 도네츠크 상공에서 일부러 쐈다?(서울=연합뉴스) 지난 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비행체 한 대가 궤적을 그리며 상공을 수직으로 올라가고, 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엔비디아, 알고보니 ‘자율주행 맛집’···귀경길 괴로움 덜어줄까명절은 즐겁지만 자동차를 몰고 나온 귀성(귀경)길은 괴롭다. 올해 추석은 유독 그렇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연휴 동안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하루 평균 차량 대수는 지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베란다 콘크리트 속에 시체가…알고보니 16년 전 세입자가 살해한 동거녀동거녀를 살해한 후 사체를 베란다에 16년간 은닉한 50대가 구속됐다. 남성은 은닉 후 8년간 같이 산 것으로 드러났다. 검거 당시 남성은 마약도 투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원 뭐하러 뽑아요”…잘나가는 1인기업 사장님들, 알고보니 혼자가 아니었다AI로 무장한 1인기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독감 걸리면 100만원” “변호사 선임땐 1억원”…파격적인 보험상품, 알고보니단기성과 위주 보험사 불건전경쟁 심화하자 금융당국, 보험산업 건전경쟁 확립방안 추진 보장금한도 가이드라인·심사기준 마련하고 보험사 내부통제와 외부검증 절차 강화 나서 건전경쟁 위한 배타적사용권 기간도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 매체 '쇼이구 방북, '나토와의 충돌 대비' 메시지 발신'(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난 것은 러시아가 충돌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