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r아이 사회성 발달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2019년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영유아 96명과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은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0일 밝혔다.연구 결과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만 2세 이전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95.8%에 달했지만, 대조군은 59.4%에 그쳤다.미디어 시청 때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부모 없이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77.1%였지만 대조군은 이런 비율이 38.6%였다.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 '부모의 우울·건강·맞벌이', '아이 달래기' 등을 주로 꼽았다. 반면 대조군은 이런 답변이 각각 41.3%, 7.4%로 다소 낮게 집계됐다. 연구팀은 아이의 미디어 노출을 줄이기 위한 팁으로 ▶24개월 이전엔 가능하면 보지 않도록 하기 ▶불가피한 경우엔 엄마 아빠가 곁에서 대화하면서 보기 ▶시청시간을 기록해 파악하고 하루 1시간 이내로 제한하기 ▶폭력적이거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피하기 ▶그림책, 모래놀이 등 미디어를 대체할 수 있는 놀거리 제공하기 ▶두뇌발달에는 아이와 함께 노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하기 등을 제시했다.
김성구 교수는"어린 나이에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게 된다"며"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발달 지연 아이의 경우 부주의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미디어 노출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이때는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관련기사 정혜정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중부 폭우·남부 가뭄...'한반도, 이미 기후 위기 진입'2022년 대표 이상 기후는 ’중부 폭우·남부 가뭄’ / 정부 차원의 이상 기후 보고서…피해 현황 추가 / 2022년 가장 큰 피해 준 이상 기후는 ’중부 폭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울토마토 먹고 구토 잇따라‥'쓰면 먹지 마세요'최근 방울 토마토를 먹고 나서, 강한 쓴 맛을 느끼거나, 구토를 했다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당국이 긴급 조사에 나섰는데요. 일단 유해 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습기용 방향제’ 쓰지 마세요···모두 미허가제품가습기에 쓰는 생활화학제품은 시장에 유통되기 전에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안전성과 효능, 효과를 사전에 승인받아야 한다. 이날까지 법에 따라 승인받은 제품은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의 '이것' 덕분에 목숨 구해'…우크라군 영상 화제우리나라 업체의 스마트폰이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군인의 생명을 구했다는 영상이 퍼지며 화제입니다. 세 번째 검색어는 '또 총알 막은 스마트폰'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XXX야' 쥴리 의혹 제기한 안해욱, TV토론서 욕설 논란 | 중앙일보이에 진행자가 '비속어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경고했습니다.\r안해욱 전주을 TV토론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