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16일, 카카오 ‘다음 뉴스’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의 요청으로 관련 기사의 댓글 서비스를 닫습니다’라는 제목의 공지사항을 올렸다. 10·29 이태원 참사 49재로 시민추모제가 열리는 날이었다. 📝 조선희 (민주언론시민연합 미디어감시팀 활동가)
그들의 명예나 사생활, 심리적 안정 등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되어 있다는 말을 전했다. 다음 뉴스는 댓글 서비스 중지를 알렸는데, 시민들의 요청을 무시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답변을 남겨주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네이버에선 아무런 응답도 없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일부 언론사에서 ‘댓글창 닫기’에 동참해주었다는 사실이다. 다음 뉴스에서야 언론사를 불문하고 시민추모제 기사 댓글창 대부분이 닫혀 있었지만, 네이버 뉴스에도 댓글창이 닫힌 기사가 몇 있었다. ‘드루킹 댓글 여론조작 사건’ 이후 네이버는 2018년 10월부터 뉴스 댓글창 운영을 언론사에 맡기고 있다. 댓글창 유무부터 댓글을 최신순으로 정렬할지 공감순으로 정렬할지 등을 언론사가 고를 수 있다.
누가 표현의 자유 보장 그 자체에 반대하겠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댓글창을 닫아달라 호소하는 이유는 혐오의 온상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21년 9월 발표한 ‘온라인 혐오표현 인식조사 2021’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은 뉴스 기사와 악성 댓글에서 혐오 표현을 접한다고 답했으며, 지난해 12월 〈국민일보〉의 댓글 관련 기획보도 ‘혐오 발전소, 댓글창’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당일부터 열흘 뒤까지 ‘이태원’ 내용이 들어간 기사에 달린 댓글 123만여 개 가운데 58.27%에서 혐오 표현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로부터 고통받는 사람이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연예·스포츠 뉴스에서 댓글 서비스를 중단한 이유다. 배구선수 고유민씨의 죽음 이후 2020년 8월 두 포털 모두 스포츠 뉴스 댓글 서비스 종료를 알렸고, 가수 겸 배우 설리씨 죽음 직후인 2019년 10월에는 카카오가, 2020년 3월엔 네이버가 연예 뉴스 댓글을 폐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승객 127명 중 68명 사망... 그 두 달 후 벌어진 일승객 127명 중 68명 사망... 그 두 달 후 벌어진 일 세상의마지막기차역 베스트셀러 이태원참사 김지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밤새 일한 엄마는 또 분향소로 '그날도 지금도 국가는 없다'[영상] 밤새 일한 엄마는 또 분향소로 '그날도 지금도 국가는 없다' 이태원 조경철 참사 희생자 소중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생에 젊음만 있나요, 배우는 인생을 그리는 일' 윤정희(1944~2023) | 중앙일보그는 영화나 영화배우라는 직업을 화려한 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r윤정희 배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명숙 칼럼] 절망하고 절망하면서도 기어코 진실을 향해 가야 한다국정조사가 실망스러우셨더라도, 절망하지 않고 계속 진실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태원참사 1029참사 국정조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독립적진상조사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가 조금 덜 외로웠으면 좋겠다' 그저 이런 위로면 됩니다'네가 조금 덜 외로웠으면 좋겠다' 그저 이런 위로면 됩니다 이태원참사 김초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년의 '무지갯빛' 블로그, 생전에 남긴 따스한 글들청년의 '무지갯빛' 블로그, 생전에 남긴 따스한 글들 이태원 신한철 희생자 참사 소중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