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한일관계 복원에 '우리 먼저 조치, 일본 지켜볼 것' 대통령실 한일관계 화이트리스트 유창재 기자
대통령실이 한일정상회담 직후 세계무역기구 제소 취하 등 일본 관련 정책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우리 정부와 달리 미온적 태도를 보이는 일본 정부를 지적하는 비판에 대해"우리 측이 할 수 있는 조치를 우리가 먼저 하고, 그 다음에 일본 측이 어떤 조치를 할지, 조금 지켜보겠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27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정부가 일본의 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WTO 제소 취하, 화이트리스트 복원 조치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도 일본 정부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데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국가 간 외교의 제1원칙은 최소한의 균형인데, 정부는 이 기본조차 지키지 못하고 있다"면서"정부가 일본에 대한 WTO 제소를 취하하고 화이트리스트 복원 절차에 돌입했지만, 일본은 자국기업 이익을 위해서 3개 품목 수출규제를 해제 조치한 것 말고는 아무것도 내놓은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 대표는"국민의 안전한 밥상까지 내놓으라는 일본의 요구에 정부는 항의조차 못하고 있다"며"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는 문재인 정부가 WTO 승소를 통해 인정받은 권리다. 일본의 심기를 살핀다고 자주적인 권리를 포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일본 교과서에서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을 확대하고, 강제동원에 대해서도 '강제'를 뺀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의에"해당 부처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만 답변했다. 직접적인 대통령실의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한편, 이도훈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의 정례 주례회동과 관련해"윤 대통령과 한 총리는 양곡관리법 개정안 국회 통과와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추진에 대해서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추진 관련해서"실사단에게 우리나라의 유치 역량과 의지를 최대한 알릴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총집결해 만반의 준비를 해나가겠다"고 보고했으며, 이에 윤 대통령은"4월 초, 국제박람회기구 엑스포 실사단 방한 준비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한 총리에게 거듭 당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덕민 주일대사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은 '고육지책''윤덕민 주일대사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은 '고육지책'' 윤덕민 강제동원_해법 주일대사 김도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국민 68% '韓해법으로 징용 문제 해결된다고 생각 안해'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일본 국민 10명 중 7명은 한국 정부가 발표한 해결책으로 일제 강제징용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준비한 메시지 아니다'...박정희·DJ·노·MB 등 전 대통령 꺼내는 윤 속내 | 중앙일보국힘 '1호 당원'이지만, 과거 대통령을 언급할 땐 진보와 보수 양쪽 진영을 넘나들고 있습니다.\r윤석열 대통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순신 낙마 한 달만에... '드루킹 수사' 지휘 우종수 내정정순신 낙마 한 달만에... '드루킹 수사' 지휘 우종수 내정 우종수 드루킹_사건 국가수사본부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지지율 '복합위기' 직면?...여론 수렴·외교로 돌파정순신· 한일관계·근로시간 등 겹쳐 여론 악화 / 국정 지지율 ’복합위기’…尹, ’담화’로 국민 설득 / 정부·여당, ’캐스팅보트’ MZ 설득 작업에 분주 / 대통령실 '5월까지 외교 행보로 지지율 올릴 것' / 취임 1년 전후 개각·개편 방향도 ’관전 포인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2의 뒤샹' 카텔란, 그가 그린 우리들의 자화상'제2의 뒤샹' 카텔란, 그가 그린 우리들의 자화상 리움미술관 한병철 폰타나 카텔란 조슬릿 김형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