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가 뱃살 관리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 ‘신경교종’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당뇨병 환자가 뱃살 관리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 ‘신경교종’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4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51%

복부비만 정도가 심각한 당뇨병 환자는 악성 뇌종양 중 하나인 신경교종 발생 위험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이자 주요 진단 요건에 포함된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은 3~5배 높아지는데, 당뇨 발병 후에도 허리둘레를 줄여 복부비만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뇌종양에 걸릴 위험까지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아산병원은 12일 고은희·조윤경 내분비내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20세 이상 당뇨병 환자 189만명을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에선 복부비만이 심할수록 신경교종 발생률도 높아져 특히 허리둘레가 남성은 100㎝, 여성은 95㎝ 이상으로 복부비만이 심각할 경우 복부비만이 아닌 당뇨병 환자보다 신경교종 발생률이 최대 37% 높게 나타났다. 허리둘레가 남성 90㎝ 이상, 여성 85㎝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분류된다. 복부비만과 함께 중성지방·고밀도지방·혈압·공복혈당 등의 수치가 기준치에서 벗어나 흔히 성인병이라 부르는 질환의 인자들이 3가지 이상 나타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다. 복부비만의 원인인 체지방 중에서도 복강 내 내장지방은 특히 혈압을 올리고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역할을 방해하는 여러 물질을 분비해 당뇨병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고, 동맥경화를 유발한다. 2019년 기준 국내 성인 당뇨병 환자의 63%는 복부비만이었는데, 전체 성인의 복부비만율 24%에 비해 약 2.6배 높았다.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09~2012년 건강검진을 받은 당뇨병 환자 189만명을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분석했다. 이들 중 2009년부터 2018년 사이에 신경교종이 발생한 환자는 모두 1846명으로, 연구진은 이 환자들을 허리둘레에 따라 1그룹부터 6그룹까지 5㎝ 단위로 나눴다. 연령, 성별, 흡연 여부, 비만도, 당뇨병 유병 기간, 인슐린 사용 여부 등을 보정한 분석 결과 신경교종 발생률은 허리둘레가 가장 가늘었던 1그룹에 비해 2그룹이 5%, 3그룹 18%, 4그룹 28%, 5그룹 32%, 6그룹 37% 증가했다. 특히 65세 미만의 당뇨병 환자는 65세 이상 고령 환자보다 복부비만에 의한 신경교종 발생률의 증가 정도가 16% 더 높게 나타났다.악성 뇌종양인 신경교종은 뇌와 척수의 내부에 있는 신경교세포에 생기는 종양이다.

이번 연구 결과로 당뇨병 환자는 신경교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서라도 복부비만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고은희 교수는 “신경교종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지방세포가 체내 염증 반응을 유발해 신경교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며 “당뇨병 환자는 복부비만이 생기지 않도록 평소 매일 30분씩 걷는 등 운동을 꾸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해외에서 주 4일제 실험을 하는 이유 [프리스타일]해외에서 주 4일제 실험을 하는 이유 [프리스타일]‘노동시간 개편안’을 둘러싼 논란에 외신도 집중했다. 세계 여러 국가가 주 4일제로의 변화를 본격화하고 있는데, 주 최대 69시간까지 늘릴 수 있는 법안은 분명 ‘다른’ 흐름이었다. 과로사 발음 그대로 ‘kwarosa’라는 단어가 소개되는가 하면, 한국 직장인들 사이에서 성행한다는 낮잠 카페까지 등장한다.해외에서 노동시간 단축에 관심이 커진 데에는 팬데믹 이후의 변화가 한몫했다. ‘조용한 사직’이나 ‘대퇴사’라는 신조어처럼 일과 거리를 두려는 가치관이 확산되었다. 최근 영국에서 대규모 주 4일제 실험을 실시한 것도 그런 예다. 급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떠들 이유 없다'? 통영시장 발언 논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떠들 이유 없다'? 통영시장 발언 논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떠들 이유 없다'? 통영시장 발언 논란 후쿠시마핵발전소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오염수 천영기_통영시장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이소 가려면 기회는 4번뿐' 시골살이 '낭만'이 지운 것들'다이소 가려면 기회는 4번뿐' 시골살이 '낭만'이 지운 것들'다이소 가려면 기회는 4번뿐' 시골살이 '낭만'이 지운 것들 지방소멸 청년세대 광주 지역일자리 인구유출 청년유니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요즘 소아과 가보셨어요? 난리통이 따로없습니다요즘 소아과 가보셨어요? 난리통이 따로없습니다요즘 소아과 가보셨어요? 난리통이 따로없습니다 소아과 소아과대란 최지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암 판정부터 임종 순간까지 그대로…다큐 영화 '울지마 엄마' | 연합뉴스암 판정부터 임종 순간까지 그대로…다큐 영화 '울지마 엄마'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지금은 다른 치료는 안 하는 게 좋겠어요. 지금은 받아들여야 할 때예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1 18:2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