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진탕 바이러스 재활성화, 알츠하이머 위험 증가

건강 뉴스

뇌진탕 바이러스 재활성화, 알츠하이머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병뇌진탕신경퇴화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2%
  • Publisher: 51%

외상성 뇌 손상이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를 재활성화하여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진탕 등 외상성 뇌 손상이 잠복해 있는 단순포진 바이러스 ( HSV-1 )와 같은 바이러스 를 재활성화해 신경 퇴화를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 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축구나 권투, 미식축구 같은 스포츠에서 머리를 다친 선수나 뇌진탕 을 경험한 군인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 퇴행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미국 터프츠대와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8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시그널링에서 실크 단백질과 콜라겐, 신경 줄기세포로 만든 뇌 조직 모델 실험에서 반복적 충격이 잠복성 HSV-1 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치매 관련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HSV-1 과 외상성 뇌 손상을 직접 연관 짓는 첫 연구 중 하나이며 이는 향후 항 바이러스 제를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권투나 축구 같은 스포츠에서는 뇌진탕과 반복적 충격에 의한 뇌 손상이 만성 외상성 뇌병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신경 퇴행성 질환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위험 최소화를 위해 보호 장비와 경기 규칙이 강화되고 있다. 또 이전 연구에서는 잠복해 있는 HSV-1이 활성화되면 아밀로이드 플라크, 신경세포 손실, 염증, 신경망 기능 저하 등 알츠하이머병 표지들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특히 HSV-1은 일반인 80% 이상,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95% 이상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뇌진탕이 어떻게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를 재활성화하고, 신경 퇴화 과정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밝혀내기 위해 뇌 조직 모델을 사용했다. 실크 단백질과 콜라겐으로 스펀지 같은 폭 6㎜의 도넛 모양을 만들고 여기에 신경 줄기세포를 주입해 성숙한 뉴런으로 유도한 다음, 축삭(axon)과 수상돌기(dendrite)를 성장시켜 신경망을 갖춘 뇌 조직 모델을 만들었다.그 결과 충격을 받은 조직의 감염된 세포에서는 HSV-1이 재활성화됐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타우 단백질(τ protein), 염증, 신경세포 사멸, 신경교증 등 알츠하이머병 마커들이 관찰됐다. 또 반복적 두부 손상을 모방한 뇌 조직 모델은 충격을 많이 가할수록 알츠하이머병 마커가 많이 나타났고, HSV-1이 없는 뇌 조직 모델은 충격 후 약간의 신경교증은 보였지만 알츠하이머병의 다른 마커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존 역학 연구에서 운동선수가 머리에 여러 차례 충격을 받으면 몇 달 또는 몇 년 후 신경 퇴행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두 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결과는 운동선수들이 뇌진탕을 겪으면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고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터프츠대 데이나 케언스 교수는 이 연구에서 외상성 뇌 손상과 신경 퇴행성 질환을 연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며 이는 항바이러스제나 항염증제를 두부 외상 후 바이러스 활성화를 막고 알츠하이머병 위험을 낮추기 위한 예방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알츠하이머병 뇌진탕 신경퇴화 바이러스 HSV-1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외상성 뇌 손상, 잠복 바이러스 재활성화 통해 알츠하이머 위험 증가외상성 뇌 손상, 잠복 바이러스 재활성화 통해 알츠하이머 위험 증가미국과 영국의 연구팀은 뇌조직 모델 실험을 통해 외상성 뇌 손상이 잠복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SV-1)를 재활성화시켜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화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외상성 뇌 손상 후 바이러스 활성화를 막는 항바이러스제나 항염증제를 이용한 예방 치료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대출 비중 증가, 경제 위기 시 연체 위험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만, AI 자동화 위험, 신중년 여가비만, AI 자동화 위험, 신중년 여가남성 중심 비만 증가와 AI 자동화 위험, 신중년의 비활동적인 여가 활동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울증, 고령 운전자 위험 운전 증가우울증, 고령 운전자 위험 운전 증가우울증 또는 항우울제 복용 고령 운전자는 위험한 운전 행동 발생 가능성 높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연사 위험 높은 ‘비후성 심근증’···‘이 치료제’로 위험 감소 효과돌연사 위험 높은 ‘비후성 심근증’···‘이 치료제’로 위험 감소 효과심장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비후성 심근증에 혈당강하제인 ‘SGLT2 억제제’가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천! 더중플 - 불로장생의 꿈: 바이오혁명추천! 더중플 - 불로장생의 꿈: 바이오혁명당뇨, 치매, 암 위험 줄이는 건강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13: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