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좋고 국민 좋은 쌀 정책을 수확하세 쌀정책 이근혁
좋은 정책은 한쪽 입장에 편중되지 않아야 하며 정책적 효과를 여러 사람이 함께 누려야 한다. 정책적 효과가 한 방향으로만 나타난다면 그 효과가 아무리 높다고 해도 그 정책은 지속적일 수 없다. 그렇다면 쌀 정책을 둘러싸고 생산자인 농민의 입장과 소비자인 국민의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을까? 생산비를 보전받고자 하는 농민과 좋은 먹을거리를 저렴하게 공급받고자 하는 국민이 모두 공감하는 쌀 정책과 제도는 무엇일까? 온 국민이 동의하는 쌀 정책은 없는 것일까?
2022년 쌀값은 45년 만에 최대로 폭락했지만, 농민 입장에서는 생산비가 200평당 52만 9500원에서 67만 9750원으로 28.4%나 증가했다. 노동자가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 최저임금이 필요하듯이 쌀농사를 짓는 농민에게는 쌀 최저가격이 필요하다. 쌀 최저가격제는 쌀농사의 지속성을 담보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국회가 매년 생산자단체와 함께 쌀 최저가격을 마련하고, 쌀을 시장격리3) *하거나 공공비축미를 사들일 때 이를 가격 결정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넷째, 일정량을 국가나 지자체, 공공단체가 매입하는 공공수급제를 통해서 쌀 30만 톤을 한 가마에 24만 원, 즉 최저가격 수준으로 매입해야 한다. 친환경 고품질 쌀을 계약재배하고 공공 급식에 사용해야 한다. 여러 농산물에도 공공수급제가 필요하지만, 주식인 쌀부터 공공수급제를 도입해 국가책임농정을 실현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농민 향한 가스라이팅... '밥값' 못하는 쌀 정책의 역사농민 향한 가스라이팅... '밥값' 못하는 쌀 정책의 역사 쌀정책 김태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애 첫 글쓰기에 도전하는 사람들에게생애 첫 글쓰기에 도전하는 사람들에게 글쓰기 이야기 글 에세이 박순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탁구 세계선수권 '은' 신유빈 '더 탄탄하게 실력 키울 것'신유빈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2023 개인전 세계선수권대회를 마치고 오늘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뒤 취재진과 만나 '좋은 성적을 내서 기분이 좋고, 도와주신 분들께 감사할 따름'이라며 '중국 선수들과 경기를 할수록 부족한 점을 찾고 많이 배우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교 급식실 노동자도 누군가의 엄마, 좋은 환경서 일했으면'당진 시민들, 당진터미널 앞에서 촛불문화제 진행... "공기청정기부터 설치하라" 촉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정민갑의 수요뮤직] 좋은 음악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같은 경기도민인데…'서울시 재난문자'는 왜 나만 받았나서울시가 오늘(31일) 아침 6시 32분 서울 전역에 경계경보를 발령하면서 위급 재난문자로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