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절반이 ‘가족 위한 휴가’ 못 쓰는, 출산율 0.78의 나라

대한민국 뉴스 뉴스

노동자 절반이 ‘가족 위한 휴가’ 못 쓰는, 출산율 0.78의 나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직장인 10명 중 4명이 법에 보장된 산전후휴가(출산휴가)를 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육아휴직, 가족 돌봄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없다는 직장인도 절반을 넘었습니다. ⬇️그런데도 정책 방향은...

게티이미지코리아 직장인 10명 중 4명이 법에 보장된 산전후휴가를 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휴직, 가족 돌봄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없다는 직장인도 절반을 넘었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이 0.78명에 그친 가운데 현실에는 없고 법에만 있는 출산·육아·돌봄 등 가족을 위한 휴가 사용 실태가 드러난 셈인데, 압축·집중 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부의 근로시간 정책 방향이 이런 분위기를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직장갑질119가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26일 공개한 결과를 보면, 출산휴가를 자유롭게 쓰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9.6%에 이르렀다. 비정규직, 5인 미만 사업장, 일반 사원급에서 이 비중은 절반을 넘었다. 300인 이상, 상위 관리자급에서 상대적으로 같은 응답이 적은 것과 대비된다.

가족 돌봄 휴가는 직장인 53%가 자유롭게 쓰지 못했다. 가족돌봄휴가는 가족의 질병, 사고, 양육 등을 위해 한 해 10일까지 사용할 수 있는 휴가다. 비교적 노동환경이 나은 것으로 여겨지는 공무원조차 직장갑질119에 “가족 돌봄 10일을 신청했으나 결재권자가 4일만으로 간병은 충분하다며 곤란하다고 하고 있다”고 제보했다. 법에 보장된 가족을 위한 휴가가 제도로만 존재하는 분위기는 새삼스럽지 않다. 고용노동부의 2020년 일·가정양립실태조사에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를 활용한 직장인은 5.9%에 그쳤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를 사용한 직장인은 6.4%였다. 특정 기간 몰아서 일하되 자유롭게 휴가를 쓰는 것을 큰 틀로 삼은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방안이 노동자의 휴식권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다는 의구심을 낳는 배경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생방송 도중 손목시계 슬쩍 푼 마크롱…'명품쓰는 대통령' 비난 의식?생방송 도중 손목시계 슬쩍 푼 마크롱…'명품쓰는 대통령' 비난 의식?정년 연장을 골자로 한 연금개혁을 강행하며 반대 여론에 부딪힌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개혁 취지를 설득하기 위한 생방송 인터뷰 도중 손목시계를 슬쩍 푸는 장면이 포착돼 '명품을 쓰는 부자 대통령'이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장인 절반이 육아휴직 자유롭게 못 쓰고 있다직장인 절반이 육아휴직 자유롭게 못 쓰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하다가 더는 죽을 순 없다, 주 69시간 악법 폐지하라”“일하다가 더는 죽을 순 없다, 주 69시간 악법 폐지하라”경찰은 이날 5000여명의 경력을 투입했습니다. 주69시간 집회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18:0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