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기소 이후에도 내란세력의 활동은 계속되고 있다. 법원과 의회를 침탈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치적 대립과 선동으로 사회가 불안정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두운 상황 속에서도 평화로운 집회가 꾸준히 열리고 있다. 이 집회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서로 연대하고 협력하며, 공동체를 형성하는 희망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12월3일 이후 두 달이 지났다. ‘내란성’ 스트레스, 불면증, 우울증 등 온갖 질환을 겪다가 다들 어느 정도 일상으로 돌아온 듯하다. 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윤석열 은 구속기소됐을 뿐 탄핵심판과 형사재판이 진행 중이다. 윤석열 이 의회 무력화에 실패한 이후, 현재 내란 세력의 칼끝은 사법부 로 이동했다. 윤석열 지지자들은 법원을 침탈했다. 여당 의원들은 연일 헌법재판소와 사법부 를 향해 색깔론을 쏟아낸다.
윤석열은 집권 초부터 ‘반국가세력’을 반복해서 언급했다. 이처럼 정의가 모호한 개념은 자의적으로 사용된다. 과거 권력은 평범한 시민에게 손쉽게 ‘빨갱이’란 딱지를 붙였고, 그러면 어떤 법의 보호도 받지 못하게 되었다. 그가 정말 빨갱이인지, 빨갱이가 대체 무엇인진 중요하지 않았다. 권력이 임의로 누군가를 빨갱이라 지목하면 빨갱이가 생겼고, 그 근거는 조작됐다. 실체도 근거도 없이 자의적으로 설정된 반국가세력 역시 마찬가지다. 부정선거론에 중국 배후론까지, 음모론과 가짜뉴스로 반국가세력을 조작해내면 그뿐이다. 그 극단적 결과를 우리는 이미 지난해 12월3일 목도했다. 계엄 포고령은 계엄 이유가 반국가세력의 체제전복 위협이라 적시했다.
집회에서 갑자기 누군가 내 패딩 주머니에 손을 넣었다. 놀라서 주머니에 손을 넣어보니 따뜻하게 데워진 쌍화탕이 있었다. 선결제, 커피차, 기부 등 구체적인 사랑이 집회를 지키고 있었다. 수많은 이주민, 트랜스젠더, 장애인, 노동자가 제 정체성을 드러내며 발언했고 박수를 받았다. 서로에 대한 사려 깊은 돌봄과 환대가 사람들 사이에 흘렀다. 검은 패딩을 입은 시민들이 옹기종기 모인 가운데 있으니 펭귄이 된 것처럼 춥지 않았다. 응원봉을 들고 춤추는 행진에 신이 났다. 이 속에 있으면, 이들과 함께라면 어떻게든 될 거라는 안도감이 들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의 힘 국회의원, 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막아 '의원직 물러나라' 비난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막은 행위에 대해 국민의 배신자, 내란의 방패막이, 사설경호원이라 비난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48년, 민주공화국의 시작: 대한민국 헌법, 그리고 그 이면의 이야기1948년 대한민국 헌법 제정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며, 당시 제헌의원들이 논쟁하고 탐구했던 가치와 이상을 밝혀낸다. 남녀평등, 노동권, 교육, 경제 민주화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한 헌법 제정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이 어떤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자 했는지를 보여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이 새겨야 할, YS의 뼈때리는 한마디[커피로 맛보는 역사, 역사로 배우는 커피] 돌아온 분노와 저항의 시대, 아메리카노와 '썩은 오렌지족'의 추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천!더중플 - 내란의 수하들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뒤, 여러 사람들이 내란과 관련하여 구속되거나 불구속 상태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과거 윤석열 대통령과 어떤 인연으로 엮였고, 내란의 수하가 됐을까요?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12·3 비상계엄 사태' 시리즈입니다. 이 시리즈와 함께 급박하게 돌아가는 정치 상황을 깊이 있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더중앙플러스는 지적인 독자들을 위해 중앙일보의 역량을 모아 만든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플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고발사주’ 무혐의, 내란의 싹 키웠다윤석열의 ‘내란 본색’은 이미 검찰총장 때 꼬리를 드러냈다. ‘검·언유착(채널에이 사건)’과 ‘고발사주’ 사건에서다. 두 사건은 윤석열이 2020년 4·15 총선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승리를 도와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데 검찰을 이용한 ‘정치공작’이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란의 숙청, 프랑스 나치 청산을 떠올리자한 달 넘게 분노와 울화가 지배하는 정국에서 서울대 학생들이 내란 수괴 및 동조자들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번 내란의 주요 공범들은 공부가 잘했던 자들로, 지식인, 언론인, 정치인 등 사회적 영향력이 큰 자들이었는데, 이는 과거 친일파의 모습과 닮았습니다. 프랑스의 나치 잔재 청산을 통해, 사회적 영향력이 큰 반역자를 엄격히 처벌해야 함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