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큰돌고래 새끼, 태어나는 족족 죽는다…제주 바다에 무슨일

남방큰돌고래 뉴스

남방큰돌고래 새끼, 태어나는 족족 죽는다…제주 바다에 무슨일
우영우폐사새끼돌고래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81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3%
  • Publisher: 53%

김병엽 제주대 돌고래연구팀 교수는 '어미 돌고래가 새끼를 처음 낳으면 숨을 쉬도록 물 위로 올려주는데, 그 행위를 죽은 새끼에게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이런 식으로 제주 앞바다에서 폐사한 제주 남방큰돌고래 새끼는 10마리로 파악됐다. 해양생물생태보전연구소(MARC)와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지난달 발행한 ‘제주 동부지역 남방큰돌고래 서식지 보전’ 정책브리프 자료에 따르면 남방큰돌고래들은 관광 선박이 접근하면 수심이 매우 얕은 연안으로 몰리고, 백상아리 같은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와 유사한 행동 반응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어미 돌고래가 힘없이 늘어진 새끼 돌고래를 머리에 이고 필사적으로 물 위로 올린다. 새끼 돌고래는 이미 숨이 멈춘 듯하다. 그래도 새끼를 살리려고 어미는 몸부림치듯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올해 제주 앞바다에서 10차례 정도 목격된 모습이다. 김병엽 제주대 돌고래연구팀 교수는 “어미 돌고래가 새끼를 처음 낳으면 숨을 쉬도록 물 위로 올려주는데, 그 행위를 죽은 새끼에게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간의 접근을 철저히 거부하고 부패할 때까지 들어 올리는 모습은 누군가에게 항의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해 매우 착잡하다”고 덧붙였다.

올해 이런 식으로 제주 앞바다에서 폐사한 제주 남방큰돌고래 새끼는 10마리로 파악됐다. 2022년까지는 한 해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일이었다고 한다. 멸종위기종인 제주 남방큰돌고래는 전체 개체수가 120여 마리로 적은 데다, 출산도 쉽지 않다. 암컷 남방큰돌고래는 임신 기간 12개월을 거쳐 한 번에 한 마리만 출산한 뒤 새끼를 2년간 돌보는 동안 새로운 새끼를 임신하지 않는다. 이런 조건에서 올해 새끼만 10마리가 폐사했다는 건 태어나는 족족 죽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일부 전문가들은 제주 연안의 소음공해가 최근 증가한 게 주요 원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새끼 돌고래들의 폐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한 돌고래 선박 관광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병엽 교수는 “관광 선박들이 10~20m 간격으로 나타나 경쟁하듯이 돌고래에 접근하면, 이로 인해 남방큰돌고래는 포식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다는 큰 공포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여러 척의 선박이 내는 소리가 돌고래에게는 포식자가 거대한 벽을 형성해 조여 오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는 설명이다.2022년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인기리에 방영된 이후, 선박이 돌고래에 근접하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주인공이 남방큰돌고래를 좋아하는 드라마 내용 때문에 돌고래 관광객이 급증했고 선박 간의 경쟁도 치열해졌다는 얘기다.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는 관광 선박이 돌고래에 접근하다 못해 아예 선박으로 덮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기도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남방큰돌고래 부근 50m 이내로 접근하는 등 관광 가이드를 어기면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단속도 어려울뿐더러 실효성이 없다는 게 돌고래 보호 단체들의 주장이다.

“국내서도 연안 해상풍력단지의 영향 연구해야” 제주 연안에 조성되는 해상풍력 발전이 서식지를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내에서는 아직 연안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돌고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다. 2015년 국립 수산과학원이 남방큰돌고래 서식지 손실에 대한 해양정책연구 보고서를 발간한 적은 있다. 과학원 산하 고래연구소의 관찰 결과, 남방큰돌고래는 과거 제주 남부보다는 북부 해안에서 주로 발견됐지만 2012년 한림읍 해상풍력 발전 시범단지 조성 이후 인근 해역에서 무리가 발견된 기록이 전무했다는 내용이다.해외에서는 풍력발전 단지가 조성될 때의 공사 소음과 조성 이후 발전기 터빈이 일으키는 소음이 고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이런 해외 사례를 제주도의 해상풍력 사업에도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방큰돌고래 무리가 주로 서식하는 구좌읍 앞바다에서 공공주도로 진행되는 한동·평대 해상풍력 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2026년에 착공해 2028년부터 가동할 예정인데, 착공에 앞서 돌고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풍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소음 문제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을 도입하는 등 탄소 중립을 달성하면서 해양 환경을 보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정은혜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우영우 폐사 새끼돌고래 돌고래관광선박 해상풍력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재명 뽑히면 다 죽는다” 설교한 목사, 벌금 150만원 확정“이재명 뽑히면 다 죽는다” 설교한 목사, 벌금 150만원 확정지난 대선을 앞두고 교인들을 상대로 이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자를 반대하는 내용의 설교를 하면서 “선거에서 지면 다 죽는다” 등의 말을 한 박영우 목사가 벌금 150만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생물이 은하수처럼 반짝이는 세계자연유산 벵뒤굴미생물이 은하수처럼 반짝이는 세계자연유산 벵뒤굴(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벵뒤굴은 입구가 99개나 있다고 할 정도로 넓게 형성된 최고의 미로 동굴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줌in제주]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단체장 직접 뽑게 되나[줌in제주]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단체장 직접 뽑게 되나(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제주도는 현재 제주시 행정구역을 둘로 나누려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 정상일까 싶다... 이런데 교회에 무슨 중립 있나''대통령, 정상일까 싶다... 이런데 교회에 무슨 중립 있나'[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성 신부 (서귀포 '면형의 집' 원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걷기 좋은 계절 가을…제주 오름 어디까지 가봤니?걷기 좋은 계절 가을…제주 오름 어디까지 가봤니?(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유독 기승을 부리는 늦더위 탓에 선선한 바람이 더욱 그리워지는 요즘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창간기획]‘쓰레기 오비추어리’…짧게 살고 오래 죽는다[창간기획]‘쓰레기 오비추어리’…짧게 살고 오래 죽는다■프롤로그 지난달 11일 새벽 인천항을 떠난 폴레간드로스호에는 중고의류로 가득 찬 컨테이너가 실렸다. 다음달 말 도착할 최종 목적지는 나이지리아 오네항이다. 한국에서 버려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11: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