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신용평가가 국내 증권사의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손실이 최대 1조9000억원까지 추가로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2일 나이스신용평가는 국내 증권사 25개 사를 대상으로 국내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살펴본 결과 약 1조1000억원에서 1조9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나신평은 경락가
12일 나이스신용평가는 국내 증권사 25개 사를 대상으로 국내 부동산 PF 익스포저를 살펴본 결과 약 1조1000억원에서 1조9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가장 긍정적인 시나리오는 변수 경락가율이 2023년 평균 경락가율의 하위 40%를 유지하는 상황이며, 그 다음으로 하위 30% 시나리오와 하위 25% 시나리오로 나누었다.
‘경락가율 하위 40%’ 시나리오에서 국내 증권사의 추가 손실 규모는 1조1000억원이었고, 하위 30% 시나리오에서 1조7000억원, 그리고 하위 25% 시나리오에서 1조 9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증권사 자기자본 규모별로는 초대형사가 약 3000억~6000억원, 대형사 약 6000억~1조원, 중소형사 약 2000억~3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이예리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지난 몇년간의 이익 누적 등으로 증권사의 자기자본 확대된 데다가 대손충당금과 준비금을 적극적으로 적립한 덕분”이라며 “부동산 외의 사업 부문에서 창출하는 이익이 많은 초대형 증권사가 아니면 수익성 하방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초대형사에는 미래·NH·한국투자·삼성·KB·하나·메리츠·신한투자증권 등 8곳, 대형사에는 키움·대신·한화·유안타·교보·신영·현대차·하이·IBK·BNK투자증권 등 10곳, 중소형사에는 유진·이베스트·DB·다올·부국·SK·한양증권 등 7곳이 포함된다.나신평의 김한울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SBI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저축은행 16개사에 대한 충당금 적립률과 예상손실률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추가 손실 규모가 약 2조6000억원~4조8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 손실 확대”…지난해 증권사 순이익 얼마나 급감했나 보니국내 증권사 36개사 가운데 18개사 실적 악화·3개사 순손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美 연준 회의 결과, 국제금융시장 안정세 유지 기여할 것”“부동산 PF 리스크 충분히 관리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쏠쏠한 이자에 취해 큰코 다쳤다”…서민들 이제 돈 어디서 빌릴까, 저축은행 절반 이상 순손실일부 저축은행은 1천억 순손실 PF 대출 연체율 30% 웃도는 곳도 금감원 “내달 현장점검 나설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타이밍 놓친 부동산 PF 대책, 수류탄 넘어 핵폭탄 될 것”임재만 세종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근본적인 대책은 ‘확실한 리스크 분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 경기침체에 지난해 증권사 순이익 20% ‘뚝’지난해 국내 증권사 순이익이 일부 증권사의 일회성 배당금 수익을 제외하면 전년보다 20% 넘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기존 고금리로 투자했던 국내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싸늘한 옆 남자 목소리에 정신이 번쩍[시력 잃고 알게 된 세상] 나쁜 것보다 더 나쁜 것은 '없는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