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안중근 열풍’ 왜?

대한민국 뉴스 뉴스

끊이지 않는 ‘안중근 열풍’ 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5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9%

오는 26일은 안중근 의사의 순국 113주년입니다.

편집자주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박민식 국가보훈처장과 관계자들이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미디어 캔버스에 나오는 제104주년 3·1절을 맞이 독립운동가 14인의 흑백 사진 색채 이미지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경기 부천의 전 시의원이 지난 주말 정부의 강제동원해법 무효 1인 시위를 한 장소는 관내 ‘안중근 공원’이다. 뮤지컬에 이어 영화로 만들어진 ‘영웅’을 무료 상영하는 지자체들도 최근 부쩍 눈에 띈다. 1909년 10월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뒤 사형판결을 받고 순국한 안 의사가 거사를 준비한 1년을 그린 작품이다. 애국혼이 서린 옥중 친필이 각고의 노력 끝에 보존처리를 거쳐 얼마 전 공개되기도 했다. □ 안중근 열풍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는 이유는 뭘까. 중국 뤼순의 당시 일본법정을 ‘세기의 재판’으로 부르고 싶다. 일제는 ‘테러리스트’로 규정했지만 안 의사는 자신을 국제법상 ‘전쟁포로’라고 했다. “나는 개인자격으로 남을 죽인 범죄인이 아니다. 대한의군 참모중장으로서 만국공법으로 재판하라.” 국제법상 전쟁 중 교전을 벌이는 ‘교전자격자’의 공격은 정당방위에 해당한다. 당시 한반도에선 항일 의병전쟁이 벌어졌고 안 의사는 ‘대한의군 참모중장’이었다. 비정규군도 교전자격이 인정된다.

□ 안 의사의 진가는 순국 직전까지 감옥에서 ‘동양평화론’을 써 내려간 대목이다. 한국·중국·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체가 공존하며 경제발전을 이룰 비책을 담았다. 3국이 ‘상설 평화회의체’를 만들어 공동은행 설립, 공용화폐 발행, 합동군 양성 등을 역설한 부분은 유럽연합을 떠올릴 만큼 놀랍다. 독일 철학자 칸트의 ‘영구평화론’에도 비견될 만하다. □ 오는 26일은 안 의사의 순국 113주년이다. 안 의사는 이토를 죽인 건 일본 국민들을 살리기 위해서라고 했다. 침략세력이 장악하면 일본 국민들이 전쟁에 동원돼 죽을 것이란 예견은 틀리지 않았다. 1918년 일본 해군 지도엔 안 의사가 뤼순감옥 옆에 묻힌 것으로 돼 있지만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일이 미래로 나아가려면 일본이 성의 있게 내놓을 조치가 널려 있다. 안 의사 유해야말로 일본이 실토할 문제다.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안 의사가 하늘에서 지켜본다는 각오로 정부가 임한다면 국민들 마음의 짐이 덜할 것이다. 기사저장 댓글 쓰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지평선 구독하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kookilbo /  🏆 9.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 매체 “한국 오마카세 열풍, 젊은이들 사치와 허세”일본 매체 “한국 오마카세 열풍, 젊은이들 사치와 허세”일본 주간지 슈칸신초의 인터넷판 데일리신초가 한국의 오마카세 열풍을 두고 ‘젊은이들의 사치와 허세’라고 해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라진 63명의 노동자, 움직이지 않는 사회가 두렵다사라진 63명의 노동자, 움직이지 않는 사회가 두렵다사라진 63명의 노동자, 움직이지 않는 사회가 두렵다 노동건강연대 산재사망 산업재해 이달의기업살인 노동건강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찰, '충북 단재교육원 블랙리스트' 불송치 결정경찰, '충북 단재교육원 블랙리스트' 불송치 결정"업무방해죄서 공무는 업무 해당 안돼", 박근혜 정부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다른 판단... 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동원 피해자들 원치 않는 ‘제3자 변제’ 가능한가?강제동원 피해자들 원치 않는 ‘제3자 변제’ 가능한가?강제동원 생존 피해자들이 정부가 제시한 ‘제3자 변제’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공식화하면서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이 새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법조계에서는 피해자들의 동의가 없다면 현행법상 이 방안이 이행될 수 있을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법 속 들여다 보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인정 않는 챗GPT, '검찰 대통령'에게 경고?'윤석열 대통령' 인정 않는 챗GPT, '검찰 대통령'에게 경고?'윤석열 대통령' 인정 않는 챗GPT, '검찰 대통령'에게 경고? 챗지피티 윤석열 검찰 CHATGPT 강인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18:3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