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1일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적용과 관련해 국회 입법이 아닌 노동부 지침 개정 등 행정 조치를 통해 특별연장근로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경기도 성남시 판교 동진쎄미켐 R&D 센터에서 '반도체 연구개발 근로시간 개선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업계 얘기를 들어보면 현행 특별연장근로 3개월은 R&D 성과가 나오기엔 짧은 기간'이라며 '6+6개월 정도면 기업들도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가 싶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1일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적용과 관련해 국회 입법이 아닌 노동부 지침 개정 등 행정 조치를 통해 특별연장근로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김 장관은"업계 얘기를 들어보면 현행 특별연장근로 3개월은 R&D 성과가 나오기엔 짧은 기간"이라며"6+6개월 정도면 기업들도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가 싶다. 행정 조치여서 오래 걸릴 것도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반도체는 기술 전쟁이라고 하지만 또 속도전"이라며"속도에서 빨리 앞서지 않으면 후발 주자와 격차를 유지할 수도 없는데, 이런 때에 우리가 근로시간 문제를 갖고 이렇게 오래 밀고 당기고 할 줄 저는 몰랐다"고 말했다. 안덕근 장관도"반도체 전쟁은 기술 전쟁이고, 기술 전쟁은 결국 시간 싸움"이라며"반도체 특별법은 국회에서 계속 논의를 진행하되 정부 차원의 비상 대책을 우선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 출연한 이재명 “민주당 집권하면 코스피 3,000 넘을 것...‘윤석열 디스카운트’ 해소”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대해선 “사용자 측도 ‘필요 없다’ 제안 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 논란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과 관련하여 '근로시간을 늘린다고 경쟁에서 이기는 건 아니지만, 너무 융통성 없는 근로기준을 맞추는 것이 산업계의 애로사항'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고소득자는 목숨이 두 개냐'며 노동자 보호를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재명, 양대노총 거론하며 '설득 어려워 '52시간' 반대'특히 반도체 고소득 연구·개발(R&D) 인력에 한해 주 52시간 예외를 적용하는 특례 조항의 경우 이 대표의 반대가 완강했다고 한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 대표가 지난 3일 주요 기업 대표를 불러 반도체특별법 토론회를 주재했던 사실을 거론하며 '이 대표가 ‘기업 대표도 (주 52시간 예외 관련한) 말은 하지 않더라’는 취지로 당시 일화를 언급했다'고 전했다. 최 대행은 국정협의체 회의에서 이 대표에게 근로자 동의를 전제로 주 52시간 예외를 3년 한시적으로 적용하고, 대외 신인도 및 해외 투자의 관점에서 주52시간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고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 '52시간 예외' 뺀 반도체법 패스트트랙…'주주 의무' 상법은 '스톱'더불어민주당이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뺀 반도체 특별법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7일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반도체 특별법이 국민의힘의 몽니에 아무런 진척이 없다'며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해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어 '중국의 ‘딥시크’ 개발이 정녕 주 52시간 근무로 이뤄졌다고 생각하느냐'며 '‘주 52시간 예외 조항’은 반도체 특별법이 특별법다울 수 있는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군용차 막은 청년, 이재명 대표에 '광장의 목소리' 전달김동현씨는 국회 앞 군용차 차단 사건 이후 이재명 대표의 반도체 52시간 노동시간 규제 예외 검토 발언을 비판하며 이 대표에 '광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AI 인력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여야 팽팽 맞서 - 노동계 설득, 미래산업 육성 위해 전향적 결정 필요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의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놓고 여야 공방, 지원 입법 무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정부와 여야는 AI 지원에 나서지만,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해 AI 관련 인재 및 기술력 부족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AI 강국위원회 설치 등 AI 개발 지원 정책을 제안하며, 반도체 특별법 개정 추진을 통해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문제는 여야 간 팽팽한 대립으로 묶여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