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난으로 강제이주한 아동, 지난 6년간 4310만 명 달해

대한민국 뉴스 뉴스

기후재난으로 강제이주한 아동, 지난 6년간 4310만 명 달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유니세프, 기후재난 인한 강제이주 아동 수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 공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6년간 총 44개국에서 기후재난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 강제이주한 아동의 수가 431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하루에 2만 명 꼴이다.유니세프는 해당 보고서가"2016년부터 2021년까지 홍수, 폭풍, 가뭄, 산불로 인해 거주지를 강제이주한 아동 수에 대한 최초의 전지구적 분석이며 향후 30년 동안의 예측을 살펴본다"고 소개했다.강제이주한 아동이 가장 많은 국가는 필리핀으로 970만 명에 달했다. 인도와 중국이 각각 670만 명과 640만 명으로 뒤를 이었다. 세 국가만 합해도 전체 강제이주 아동의 절반을 넘는다.

실제로 도미니카와 바누아투는 폭풍으로 인해 각각 전체 아동의 75%, 25%가 강제이주했다. 소말리아와 남수단은 홍수로 인해 각각 전체 아동의 12%와 11%가 강제이주했다. 강제이주한 아동이 가장 많은 필리핀의 경우는 전체 아동의 23%가 강제이주했다. 한편 가뭄으로 인해 강제이주한 아동은 130만 명으로 소말리아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 산불로 인해 강제이주한 아동은 81만 명으로 캐나다와 이스라엘, 미국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유니세프는"기후재난 발생이나 선제 대피의 결과로 강제이주가 갑작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강제이주는 생명은 구할 수 있지만 많은 아동은 여전히 집에서 쫓겨나거나 장기간 대피하는 위험과 어려움에 직면한다"며"특히 분쟁과 빈곤 등 이미 중복되는 위기에 직면해 있고, 추가적인 아동 이주에 대처할 수 있는 지역 역량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아동이 이주 위험에 처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보호출산’으로 세상 빛 본 아이, 삶의 ‘무게’는 그때부터 시작된다[창간기획]‘보호출산’으로 세상 빛 본 아이, 삶의 ‘무게’는 그때부터 시작된다[창간기획]‘위기 아동’을 보호하고자 지난 6월30일 출생통보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어 9월21일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득세 등 국세 내는데 카드 수수료도 내가 부담한다구?…국세 납부제 논란 - 매일경제소득세 등 국세 내는데 카드 수수료도 내가 부담한다구?…국세 납부제 논란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6년간 카드사만 4821억 챙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깜짝 놀랄 수험생 비율...'수포자' 8년 만에 최고[자막뉴스] 깜짝 놀랄 수험생 비율...'수포자' 8년 만에 최고다음 달 16일,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수험생은 50만 4천여 명.이들이 선택한 과목을 분석해봤더니, 제2외국어를 빼고는 2교시에 진행되는 수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분 뉴스정복] '이렇게 해서 돈 벌고도 여가부 장관 노리나'[10분 뉴스정복] '이렇게 해서 돈 벌고도 여가부 장관 노리나'택시기사 2700명 그만뒀다... 100만 원 더 줄 테니 소아과 지원하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성 아동 모두 ‘보호’하는 제도 되려면···“상담·지원 체계+입양 늘려야”[창간기획]여성 아동 모두 ‘보호’하는 제도 되려면···“상담·지원 체계+입양 늘려야”[창간기획]지난달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한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과 아동 보호에 관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술·게임 끊고 취업 성공”…‘광주형 중독자 직업재활사업’ 눈길“술·게임 끊고 취업 성공”…‘광주형 중독자 직업재활사업’ 눈길이수자 77명 중 34명 자립 성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05: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