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유럽의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신생기업(스타트업)과 손을 잡았다. 탄소배출 관련 신생기업(스타트업)인 글래스
탄소배출 관련 신생기업인 글래스돔 코리아는 21일 유럽연합의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SDI,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코프로, 롯데인프라셀, SK C&C, 호주 배터리 연구센터 등 13개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글로벌 배터리 연합의 승인을 받아 컨소시엄의 디지털 배터리 여권 프로젝트를 주관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이란 배터리 제조 과정에 참여한 모든 기업들의 탄소 배출량을 사람이 들고 다니는 여권처럼 만들어 제품과 함께 항상 제시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GBA는 2017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배터리 제조사, 원자재 기업, 에너지 기업 및 정부기관 등이 모여 설립한 단체로, 2050년까지 배터리 생태계 전반에 걸쳐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배터리 여권 개념을 제시했다. EU는 2027년부터 역내 유통되는 2kWh 이상의 전기차 및 산업용 배터리에 디지털 배터리 여권을 적용해 탄소배출량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제품 판매를 규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제조사는 원재료와 부품 등 협력사들의 탄소 배출량, 원산지 이력, 재활용 원료 비율 등의 주요 데이터를 취합해 관리해야 한다.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 출신의 김대웅 대표가 2019년 미국에서 창업한 글래스돔은 탄소 배출 데이터를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해 세계 최초로 로이드인증원으로부터 탄소발자국 관련 국제표준인 ISO 14067을 획득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면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관리하기 위한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글래스돔은 이 솔루션을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기업들에게 제공해 디지털 배터리 여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함진기 글래스돔코리아 대표는"전세계에서 제품의 탄소발자국, 재활용 비율 등을 포함한 환경영향 정보에 대한 법적 조치가 강화되고 있다"며"탄소규제 대응 솔루션을 기업들에게 제공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물량 동나지 않게 빨리 풀어”... 완판대란 갤럭시핏 3 ‘핫템’ 되나디지털 헬스케어 힘주는 삼성 갤럭시핏 3 물량 풀며 인기몰이 삼성, 웨어러블 라인업 계속 강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옥’에 갇힌 노인들 탈출시켜준 삼성…“햄버거 가게서 자신감 생겼어요”삼성 ‘시니어 디지털 아카데미’ 사업 어르신 ‘디지털 감옥’ 탈출 팔걷고 스마트폰·키오스크 사용 교육 종로 탑골공원에 체험센터 열어 8개 관계사 참여해 역량 집중 “디지털을 장벽아닌 도구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엄마, 약 먹을 시간이에요'…AI가전이 알아서 '척척'삼성 '패밀리케어' 6월 출시휴대전화·가전·스크린 연결부모님 이상상태 감지하고자녀들 귀가 여부도 알려줘'녹스로 보안문제 철저 대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SK, 시총4조 SKIET 매각…“배터리 사업 재편나선다”SK그룹이 배터리용 분리막을 생산하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경영권 매각을 포함한 배터리 사업부 재편 작업을 추진한다. 전기차 성장 부진으로 재무적 어려움에 처한 SK온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최근 SKIET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 매각 방침을 정하고 주요 글로벌 IB를 통해 인수 후보 접촉에 나선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터리 재편나선 SK 시총 4조 SKIET 판다지분가치 2.5조+α 매각추진SK온 투자자금 조달 포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테크, 삼성·SK 눈치 볼 것” HBM 혁명 성공 때 벌어질 일예를 들어 최신형 HBM3E를 만들기 위해 SK하이닉스·마이크론은 5세대(1b) 공정 D램을 기본 재료로 쓰지만 삼성전자는 4세대(1a) 공정 D램을 사용한다. 엔비디아 AI 칩에 사용되는 HBM4와 AMD의 AI 칩에 붙는 HBM4는 서로 설계도, 구조도, 성능도 완전히 다를 수 있단 얘기다. 김정호 KAIST 교수는 '비유하자면 기존엔 별개 건물인 아파트(메모리 반도체)와 상가(시스템 반도체)를 지하도로 연결했다면, 마침내 그 둘을 한 건물에 합친 ‘주상복합 반도체 시대’로 첫발을 내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