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의사가 근무하던 병원에서 성폭행에 이어 살해까지 당한 사건이 알려지며 인도에서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힌두스탄타임스(HT)에 따르면, 이날...
여성 의사가 근무하던 병원에서 성폭행에 이어 살해까지 당한 사건이 알려지며 인도에서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다.
15일 로이터통신·힌두스탄타임스에 따르면, 이날 인도 전역의 도시에서 시위대 수십만명이 촛불을 들고 밤새 행진하며 병원에서 젊은 여성 의사가 성폭행 및 살인을 당한 사건에 항의했다. 시위대는 ‘정의를 원한다’, ‘더는 성폭행은 안 된다’, ‘강간범 옹호를 멈춰라’ 등 손팻말을 들고 나섰다. 앞서 지난 9일 인도 콜카타의 국립 RG 카르 의과대학 병원 내에서 근무를 마치고 잠들었던 31세 수련의가 숨진 채 발견됐다. 부검 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자는 성기, 눈, 입에서 피를 흘리고 있었으며 목 연골이 부러진 상태였다. 다리와 배, 손 등 곳곳에도 상처를 입었다. 이는 피해자가 잔혹하게 구타당하고 성폭행을 당했음을 뜻한다고 HT는 전했다.이 사건을 계기로 여성 의료진을 보호하지 못하는 열악한 의료 환경이 비판받고 있다. 피해자의 동료들은 “건물 내 의사들을 위한 기숙사나 휴게실이 없어 피해자는 36시간 마라톤 근무를 마치고 세미나실 카펫 위에서 잠들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인도 최대 의사 단체 인도의사연합은 보건부에 서한을 보내 “비인간적인 업무 부담과 직장에서의 폭력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의료 관계자들이 14일 밤 인도 콜카타에서 열린 시위에서 항의의 뜻으로 청진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시위 참가자들도 병원 내 여성 안전 조치가 문제로 지적된 지 오래지만 조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콜카타에서 시위에 참여한 한 시민은 “나도 딸이 있다. 딸을 어디에 보내기가, 공부시키기가 무섭다. 오늘 뭔가를 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 불의는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피해자의 아버지는 “딸은 매일 10~12시간씩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딸의 죽음에 대한 대가로 돈을 받는다면 딸에게 상처가 될 것”이라며 보상을 거부했다. 그는 “당국에 원하는 건 오직 정의”라며 “그 무엇도 이 공허함을 채울 순 없겠지만 범인은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이번 시위는 2012년 뉴델리에서 한 여성 대학생이 운행 중이던 버스에서 집단 성폭행당한 뒤 살해돼 전국에서 항의가 일어났던 양상과 유사해졌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해당 사건은 인도에서 여성 안전에 대한 인식을 깨치는 계기가 됐으나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인도 국가범죄기록국이 지난해 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유명 정신과 의사 병원서 환자 사망...유족 “유기치사죄 고소”여러 방송에 출연해 얼굴을 알린 유명 정신과 의사 형제가 운영하는 병원에서 입원한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유족은 해당 병원 의료진을 형사고소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접수했다. 정신과 의사 소속사 측은 매일경제 스타투데이에 “방송 업무만 담당하다 보니 개인 사업체 운영과 관련해선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사건은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도 병원서 여성 의사 성폭행 살해… 동료 의사들 무기한 파업인도의 한 국립병원에서 여성 수련의가 성폭행당하고 살해되자 수천 명의 수련의들이 책임자 처벌과 대책 마련을 요구하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AP통신,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각) 인도수련의협회연합(FORDA) 소속 수련의들은 전날 동부 서벵골주 등 최소 5개 주에서 일부 업무를 무기한 중단하는 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6주 임신중지 영상’ 올린 유튜버·수술 의사 ‘살인 혐의’ 입건‘36주 임신중지 유튜브 영상’을 올린 유튜버가 비수도권 거주 20대 여성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해당 영상을 올린 A씨와 A씨에게 임신중지 수술을 한 병원장의 신원을 확인하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생은 국시, 의대 교수는 수련 ‘보이콧’··· 장기화되는 의대 증원 갈등의사 수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하반기에도 의료공백 사태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 대다수는 의사 국가시험(국시)을 ‘보이콧’했고, 의대 교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역의사부족, 지자체 역할해야…日은 확보계획 짜며 적극대응'(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지역의료 붕괴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본처럼 지자체들이 직접 의사 부족 실태조사를 하고 의사 확보 계획을 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사국시 집단 보이콧도 현실화…정부는 '의료개혁 갈길 간다'(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의사 국가고시 원서접수가 마감된 가운데 원서를 접수한 의대생들이 많지 않은 것으로 추정돼 '의사 국시' 집단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