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촌 투쟁, 제도적 방안 마련 위한 첫 자리 여수_귀환촌 주종섭 여수_귀환촌_투쟁 민주화운동 심명남 기자
달동네, 판자촌, 토막촌, 빈민촌, 슬럼가 등으로 불린 지역은 어느 도시에나 존재했다. 이런 공간 중 하나였던 전남 여수시 덕충동의 여수 귀환촌에는 아픈 역사가 있다. 정부가 대책 없이 밀어붙인 귀환촌 철거로 주민들이 철거반대 투쟁에 나서면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조명됐다.
전남도의회 주종섭 의원에 따르면 당시 귀환촌은 철도청 소유의 땅이 되었고, 귀환촌 사람들은 임대료와 세금을 꼬박꼬박 냈다. 그런데 1969년 접어들면서 순천철도국에서 '철거계고장'이 발부되었다. 대책도 없는 갑작스런 철거요구에 주민들은 아연실색 할 수 밖에 없었다. 여수시의회 김영규 의장과 구민호 의원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는 이미경, 김채경, 민덕희, 고용진 의원을 비롯 주종섭 도의원과 귀환촌 주민 그리고 전남대 학생회장 등 30여 명이 자리를 채웠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여수시의회 구민호 의원은"20여년간 지내온 삶의 터전에서 69년 3월 31~ 4월 1일 이틀동안 공권력의 강제철거와 주민들의 철거반대 투쟁에 대해 현재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해 보는 자리다"면서"69년 4월 2일 이후 보금자리를 강제로 떠나야만했던 원인과 과정을 살펴보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후손들은 이러한 상황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계승해 나갈지를 고민해보는 자리다"라고 토론회 취지를 설명했다. 발제자로 나선 전남도 주종섭 의원은 여수 귀환촌 투쟁의 함의와 과제를 통해 대책없는 철거반대 투쟁과 귀환촌 투쟁의 함의, 귀환촌 투쟁의 민주화운동 위상정립을 위한 과제를 발표했다.
귀환촌에서 59년 사라호 태풍때 많은 피해를 입고도 그곳을 떠나지 못했다. 항만하역 노동자들은 당시 여수한일은행에서 바꿔준 대일청구권 자금중 일본돈과 채권의 등을 받았다. 당시 철거 데모에 겪은 실상을 이렇게 증언했다."69년 3월 철도청에서 보낸 철거 계보장이 주민들에게 날라왔어요. 자진철거를 하라는 내용이었죠. 오갈데없는 귀환촌 주민들은 대책을 세워 달라며 관계기관에 진정서를 제출했지만 돌아온 답은 주위환경이 미관상 불편하니 강제철거하라는 답변이었어요. 박정희 정권에서 공권력을 행사하던 관계기관은 철거데모라 했지만 귀환촌 주주민들에겐 생존권 투쟁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만민보] 반올림 활동가 이종란 노무사 “삼성과 싸움 이끈 건 노동자와 그 가족”[만민보] 반올림 활동가 이종란 노무사 “삼성과 싸움 이끈 건 노동자와 그 가족”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TS 지민 첫 주 판매량 145만장…한터차트 K팝 솔로 신기록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그룹 방탄소년단(BTS) 지민이 지난 24일 발표한 첫 솔로 음반 '페이스'(FACE)가 한터차트 기준 첫 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게 5만원?' 진해 군항제 '바가지 논란'에 주관사가 내린 결정 | 중앙일보주관사는 '자격 미달인 곳은 장터에서 강제 퇴출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r진해 군항제 바가지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핏빛 활극 혹은 뻔한 장르물? '길복순'을 향한 다양한 시선핏빛 활극 혹은 뻔한 장르물? '길복순'을 향한 다양한 시선 넷플릭스 길복순 김상화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체 인력 구하며 파업 '정당한 노동의 대가 받고 싶다'대체 인력 구하며 파업 '정당한 노동의 대가 받고 싶다' 충북인뉴스 충북인뉴스 최현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