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전년보다 줄었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귀농·귀촌, 전년보다 줄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4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1%

2023년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 "견고했던 60대 이상 연령층의 귀농 흐름세는 약화"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은 25일 공동으로 발표한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농 가구는 1만307가구로 전년 1만2411가구보다 2104가구 감소했으며, 귀농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1.33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낮게 나타났다. 귀농가구주의 평균연령은 56.3세였고, 성별 구성비는 남자가 66.4%였으며, 연령대별 구성비는 50대가 31.8%, 60대가 37.4%로 50~60대가 69.2%를 차지했다. 귀농가구의 76.8%는 1인가구로 조사됐다. 귀촌가구주의 평균연령은 45.4세, 성별 구성비는 남자가 60.0%였고, 연령대별 구성비는 30대 22.4%, 20대 이하 20.9%, 50대 17.8%를 차지했다. 귀촌가구의 78.5%는 1인가구로 나타났다.

농림식품부는"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2022년에 이어 다시 감소하면서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했다"면서"도시지역 실업자 수 감소, 주소이전 없이 참여할 수 있는 농촌 체험 수요 증가 등이 귀농·귀촌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특히 귀농의 경우 흐름을 주도하는 '60대 이상' 연령층의 견고한 흐름세가 약화하면서 전체 귀농 규모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60대 이상 연령층은 고용률이 증가하고 농업 외 분야에서 취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가구수 증감률 전체 13.5%였고 ▲60대 이상 7.9%에서 2023년-2022년 대비 전체 17.0% ▲60대 이상 18.2%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윤원습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관은"인구감소와 도시 고령 취업자 증가는 귀농·귀촌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그러나 2차 베이비부머 은퇴, 농촌지향 수요 지속 등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골 빈 건물을 귀농·귀촌 거주공간으로…충북, 희망둥지 사업시골 빈 건물을 귀농·귀촌 거주공간으로…충북, 희망둥지 사업시골마을의 빈 건물이 귀농·귀촌을 원하는 도시민들의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충북도가 추진하는 ‘귀농귀촌 희망둥지 만들기’ 사업을 통해서다. 옥천군은 안내면 희망둥지에 입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출생 대책] 작년 출생아 수 23만명…인구 자연감소 시작돼 '국가소멸' 위기[저출생 대책] 작년 출생아 수 23만명…인구 자연감소 시작돼 '국가소멸' 위기(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작년 한국의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8년 전인 2015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보 청약통장 준비됐지?”…6월 수도권에서만 아파트 ‘3만가구’ 쏟아진다“여보 청약통장 준비됐지?”…6월 수도권에서만 아파트 ‘3만가구’ 쏟아진다수도권 3만982가구…전년보다 7.8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택 종부세 '중과' 尹정부 1년 만에 99.5% 줄었다주택 종부세 '중과' 尹정부 1년 만에 99.5% 줄었다(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지난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중 더 무거운 세율이 적용되는 '중과' 대상이 1년 만에 99% 넘게 감소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택 종부세 ‘중과’ 대상자, 1년만에 99% 넘게 줄었다주택 종부세 ‘중과’ 대상자, 1년만에 99% 넘게 줄었다지난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중 더 무거운 세율이 적용되는 ‘중과’ 대상이 1년 만에 99%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 출범과 동시에 부동산 세제가 대폭 완화된 데다 공시가격까지 하락한 영향이다. 10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귀속분 개인 주택분 종부세 대상 중 중과 대상은 2597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 귀속분 48만3454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인 가구 임금격차 커졌다···배우자 있는 가구 역대 처음 감소1인 가구 임금격차 커졌다···배우자 있는 가구 역대 처음 감소지난해 1인 가구의 임금 격차는 전년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감소세의 영향으로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가구 수가 역대 처음 감소한 가운데 1인 가구·맞벌이 가구 비중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8:0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