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 제도가 소요되는 재원에 비해 효과가 작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성혜영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2024년 추계학술대회에서 부양가족연금 대상자를 줄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 제도가 소요되는 재원에 비해 효과가 작아 제도 개선 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금액이 적어 생계 지원이 잘 되지 않음에도 대상자 수가 많아 행정적・재정적 낭비가 크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 은 수급권자에 생계를 의지하고 있는 배우자나 자녀, 부모에게 지급하는 연금이다. 배우자는 한달에 약 2만4000원, 자녀와 부모는 약 1만6000원을 받는다. 부양가족연금 을 받고 있는 사람들은 지난해 기준 총 664만명으로 전체 수급자 수의 3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요된 재원은 67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성 연구원은 우선 부양가족연금이 1인당 지급액이 크지 않아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2024년 기준 배우자에 대한 부양가족연금액은 연 29만원에 불과하다. 미국의 배우자 급여가 노령연금의 절반 수준을 지급하고, 일본의 배우자 급여가 노령기초연금의 30% 수준을 지급하고 있어 한국과 급여수준 차이가 크다. 이는 일견 한국이 부양가족연금 대상자를 다른 국가에 비해 넓게 인정해주고 있기 때문도 있다. 부양가족연금이 존재하는 국가들은 대체로 대상자를 배우자와 자녀에 한정하고 있어 부모를 포함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부양가족연금이 생긴 이후 새로운 가족부양 급여들이 생기면서 중복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2018년 만들어진 아동수당,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자녀장려금제도 등이 꼽힌다. 아동수당은 만 8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에 월 10만원씩 지급된다. 부모급여는 0~11개월까지는 매월 100만원, 12~23개월까지는 매월 50만원씩 아동수당에 추가해 지급되는 제도다. 가정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24개월~86개월 아동에게 월 10만원~20만원씩 지원되는 수당이다. 자녀장려금 제도는 저소득 가구가 만 18세 미만 부양자녀를 포함하는 경우 1인당 연 50만~100만원씩 지급된다.성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기초연금과 부양가족연금을 동시에 수급하는 부모와 배우자를 부양가족연금 수급자에서 제외시키고, 실업크레딧 보험료 지원 등 본래적 연금 수급권 강화를 위해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 제도 개선을 위해 학술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2028년 발표 예정인 6차 국민연금 종합계획에 관련 내용이 담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 제도 개선 연구 보고서 행정적 낭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내년부터 인천 지역 ‘테라스서 한잔’ 늘어난다...중기 옴부즈만 건의로 제도개선 추진14일 인천·경기 소상공인 현장 간담회 개최 인천시 지구단위계획변경 추진키로 “내년 상반기부터 옥외영업 제도 개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보면 진짜 싸긴 싸더라”…가성비 힘 실은 이마트, 3년 만에 일냈다는데이마트, 3분기 영업익 1117억 3년만에 분기 최대 실적 달성 정용진 ‘본업 충실’ 선언 이후 체질 개선·물류 통합 효과 뚜렷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AI 지원 위해 산업은행 자본금 늘리고 신용공여 한도 올려야”산은 ‘넥스트 100 포럼’서 전문가들 산업정책과 정책금융 융합 강조 디지털·녹색전환 정책 지원을 정책금융기관의 최우선 과제로 정해야 정책금융을 활용한 대규모 자금지원 위해 제도 개선도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기정 공정위원장, 생성형 AI 시장 제도 개선 방향 공개 예고한기정 공정위원장이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생성형 AI 시장에 대한 경쟁과 소비자 이슈를 분석한 결과와 함께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외식업종의 불공정행위 근절 및 불합리한 규제 개선 계획도 발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문제로 제기된 전세 제도 개선 필요성전세사기와 깡통전세 피해에 따른 전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에스크로 제도 도입, 전세보증 강화, 임대차 법 시행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태원 회장, '지역 경제 발전 위한 규제프리존 확대와 파괴적 제도 혁신 필요'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일 대구에서 열린 '전국상공회의소 회장 회의'에서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규제프리존을 확대하고, 파괴적 제도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메가샌드박스를 통해 지역 문제를 일괄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