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의사 부족 '심각'… 의대 증원 갈등, 의료개혁 동력 약화 우려

보건 뉴스

국민 절반, 의사 부족 '심각'… 의대 증원 갈등, 의료개혁 동력 약화 우려
의료개혁의사 부족의대 증원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2%
  • Publisher: 53%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사 결과, 국민 절반 이상이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의사 인력 불균형 심각 시리로 평가. 의대 증원에 대한 의정 갈등은 부정적인 평가 뚜렷. 의료개혁 필요성 강조하면서 의정 갈등 장기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

지난달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 절반 이상이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대다수는 의사 인력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의대 증원 을 둘러싸고 1년 가까이 이어지는 의정 갈등 엔 부정적인 평가가 뚜렷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7일 이러한 '보건 의료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설문했다. 응답자 절반이 넘는 57.7%는 한국 의사 수가 '모자란다'는 데 손을 들었다. '적정하다'(26.9%)의 두 배 이상이다. 의사 인력의 지역·진료과별 배치 불균형엔 87.6%가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2025학년도 대입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 기존 정부안에 대해선 27.2%가 '증원 시기·규모 모두 동의한다'고 답했다. 29%는 '시기·규모 모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34.8%는 '시기·규모 중 하나만 동의한다'고 했다.

다만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정지엔 '현실적 불가능'(46.4%) 응답이 '여전히 가능'(28.8%)보다 훨씬 많았다.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 주요 과제인 ▶의료인력 확충(61%) ▶공정보상(63.3%)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69%) ▶지역의료 강화(76.3%)에 동의한다는 비율도 모두 60%대를 넘겼다. 해를 넘기게 된 의정 갈등엔 우려의 목소리가 많이 나왔다. 국민 절반 이상(54%)이 현 상태로 의정 갈등 해결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갈등 해소를 위해 '전혀 다른 제3의 방안'(38%)이나 '정부안의 수정안'(35.4%)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2·3 계엄 사태 여파로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더 심해질 거란 응답도 53.5%로 나왔다. 특히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공백 문제 등은 국민 피부로 체감하고 있다. 의정 갈등으로 스트레스나 피로감을 느낀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7명에 달했다. 이러한 갈등 장기화가 본인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쳤냐는 질문엔 88%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 69.6%는 의정 갈등 조정·해결에 국민 역할이 중요하다고 봤다. 하지만 실제 문제 해결엔 무력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의정 갈등 조정에 '일반 국민과 환자는 힘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4명 중 3명(74.5%)인 게 대표적이다. 이태진 서울대 보건대학원장은'여전히 많은 국민은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현재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의료개혁 동력이 약화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사 설계를 맡은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앞으로 국민·환자의 정책 참여와 권한을 높이는 노력이 의료개혁 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정종훈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의료개혁 의사 부족 의대 증원 의정 갈등 의료인력 국민 인식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 의료개혁 필요시키지만 의대 증원 정책 시행 방식에 의구심국민, 의료개혁 필요시키지만 의대 증원 정책 시행 방식에 의구심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보건의료 개혁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의료개혁 및 의사 증원 정책의 내용과 절차를 현 상태로 유지할 경우, 정부와 의사단체의 갈등 해결 가능성에 대해 절반 이상인 54.0%가 '낮다'고 답했다. 국민들은 '전혀 다른 제3의 방안', '기존 정부 방안의 수정안', '기존 의사 단체가 제시한 방안' 등의 순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 정원 2000명 늘려도 2038년까지 의사 부족”…증원 반영한 최신 연구“의대 정원 2000명 늘려도 2038년까지 의사 부족”…증원 반영한 최신 연구의대 정원을 2000명 늘려도 최대 2038년까지 임상의수가 부족하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대 입학 정원을 4000명대로 유지한 뒤 증원된 인원이 배출될 때 조정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21일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에 수록된 ‘한국 보건의료제도에서 의사의 수요와 공급: 국가 단위 계량경제회귀모형을 통한 적정 의사수 추계’ 자료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 증원 갈등, 국민 대다수 피로감·스트레스의대 증원 갈등, 국민 대다수 피로감·스트레스의대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국민들에게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의료개혁 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의사 수에 대한 국민 인식과 의정 갈등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확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탄핵 후 전국의사대표들 첫 결집…'독단적 의료개혁 철회하라'(종합)尹탄핵 후 전국의사대표들 첫 결집…'독단적 의료개혁 철회하라'(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개원의와 봉직의, 교수, 전공의 등 전(全) 직역 의사 대표자들이 22일 의대 증원을 포함한 정부의 의료개혁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의대 증원 정책 재검토 촉구정근식 서울시교육감, 의대 증원 정책 재검토 촉구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과학영재들의 의대 쏠림 현상을 우려하며 의대 증원 정책의 재검토를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과 환자들계엄과 환자들2024년 의대 증원 정책에 강경하게 반대하던 전공의가 강원도 산골 의사 생활과 계엄을 통해 얻은 인식 변화와 사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05: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