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관계자는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해소 방안을 모색해 문제를 속히 매듭짓자는 분위기였다'면서'강제징용 문제 해결에 대해 '의기투합'했다고 해석하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이에"강제징용 문제 해결책에 관해서 상당히 밀도 있는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협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 잘 보고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국가안보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렸던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이 강제징용 문제 해소에 상당한 의견을 모았다면서 이같이 전했다.관계자는"수출 규제 문제, 지소미아, 강제징용 문제, 위안부 문제 이런 것은 사실 다 연결돼있는 것"이라며"한일 양측 모두 그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강제징용 문제에서 풀어나가자는 공감대가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고 부연했다.그는"중국과의 관계가 양자 현안을 넘어서 기후변화라든지 공급망 문제라든지 글로벌 이슈에 관해서도 논의할 수 있는 장들이 마련돼 있다"면서"중국과 힘을 합쳐 지역 및 범세계적인 공동선, 공공재의 확대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위관계자는 한미동맹을 '한국 외교의 중심축'이라고 규정하고"현 정부 들어서 갑자기 미국 일변도의 외교를 한다고 보기는 힘들다"면서"한미동맹을 중심축으로, 중국 등 여타 국가들과 협력의 폭과 기회를 확대해가는 외교를 지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브리핑을 열고 이번 순방 성과에 대해"우리 외교의 중요한 이정표가 세워졌다"며"미국, 일본, 중국, 아세안 정상들과 연쇄적으로 만나 우리의 생존과 안전, 미래 먹거리를 어떻게 확보할지 치열하게 협의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브리핑에서 ▲정부 최초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 ▲한-아세안 연대구상 발표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한 한미 동맹 강화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 계기 3국 회의 확대 ▲기시다 일본 총리와 첫 정식 정상회담 ▲시진핑 중국 주석과 정상회담 등을 순방의 6대 성과로 꼽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실 '한·일정상, 강제징용 문제 속히 매듭 의기투합' | 중앙일보'강제징용 문제 해결책에 관해서 구체적인 이야기가 오가지는 않았지만...'\r대통령실 한국 일본 정상회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한일 정상, 강제징용 문제 속히 매듭 의기투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대통령실은 한일 정상이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에서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조속히 해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한·일 정상 “강제징용 문제 매듭, 적극적 의기투합”이번 회담에서 강제징용 문제의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한 논의가 오가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키 이어 '헵번 코스프레'…김건희 외모만 때리는 민주당 노림수 | 중앙일보유독 김 여사에 대해, 외모 품평이 공공연히 이뤄지는 배경은 이렇습니다.\r김건희 더불어민주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중 정상회담: 바이든, 중국과 '신냉전 없을 것' - BBC News 코리아미중 정상회담: 바이든, 중국과 '신냉전 없을 것' 3시간가량 회담에서 대만 문제 외에도 북한 문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폭넓은 의제를 다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中 정상 북핵 '의기투합' 불발…美, 역내 전력 강화 나설까 | 연합뉴스(베이징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강병철 특파원='신냉전'으로까지 불리는 미·중 전략경쟁의 한복판에서 열린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