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요금 동결·에너지 요금 인상 속도 완화’ 발표는 “대응이 늦었다”며 ‘전 정부 때리기’와 함께 요금 현실화 기조를 밝혔던 것과 결이 다릅니다. 🔽 여론 악화 의식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비상경제민생회의를 통해 ‘공공요금 상반기 동결, 에너지 요금 인상 속도 완화’ 기조를 밝히면서 “공공요금 인상을 누르는 인기 위주의 정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해 온 정부 기조에서 급선회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 뒤 브리핑을 열어 ‘난방비 폭탄’ 논란을 불러온 에너지 요금에 대해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과 한전·가스공사 수익 악화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도 “서민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상 속도를 완만하게 늦추고 동시에 에너지 공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간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적 요인에서 촉발한 세계적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공공요금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밝혀왔다.
같은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2021년에 300% 이상 국제 가격이 올랐는데 요금은 한 번도 조정을 못 했다”라고 말했다. 이날 정부의 ‘공공요금 동결·에너지 요금 인상 속도 완화’ 발표는 “대응이 늦었다”며 ‘전 정부 때리기’와 함께 요금 현실화 기조를 밝혔던 것과는 결이 달라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기조 변화는 물가 상승에 대한 여론 악화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발표된 한국 갤럽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32%, 부정 평가는 59%였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물가’가 17%로 가장 많이 꼽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에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해 난방비 절감책을 들여다보다가 통신 ·은행 분야 또한 과점 체제 해소에서 부담을 줄일 수 있겠다는 기조를 정하게 된 것 ”이라며 “정부로서는 경쟁을 촉진해 비용을 내리겠다는 ‘마지막 수단 ’을 꺼내든 셈 ”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회전 사고 또 잇따라‥제대로 우회전하려면 어떻게?우회전하는 차량에 길 건너던 사람이 치여 숨지는 사고가 최근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멈추라고, 조심하라고 점점 엄격한 의무조항이 적용되고 있는데도, 사고는 왜 계속 일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왜 지진은 허리케인과 달리 예측이 어려울까튀르키예와 시리아를 덮친 규모 7.8 강진은 모두가 자고 있던 새벽 시간대에 발생해 더 큰 피해를 낳았다. 날마다 늘어나는 사망자 규모와 참혹한 피해 현장을 보고 있으면, 모두가 한 마음으로 이런 질문을 떠올리게 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가 민주당을 왜 가냐' 이준석에 따진 김제동, 무슨일 | 중앙일보이 전 대표가 '대구의 민주당으로 한 번 도전하시면 제가 영입을 고려하겠다'고 하자...\r이준석 김제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패키지 여행에서 발생한 비극... 대법원 판단은 왜 달랐나패키지 여행에서 발생한 비극... 대법원 판단은 왜 달랐나 여행사고 해외여행 여행사고 여행계약 뒤집힌판결 김용국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