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원유 생산량 1위 국가는 어디일까?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사우디아라비아, 4위 캐나다, 5위 중국이다. 5위권 내에 중동 국가는 3위 사우디아라비아밖에 없다. 그런데 왜 석유로 부강해진 나라로는 중동 국가가 떠오를까? 세계 1위 미국이 석유로 부자가 된 나라일까? 정답부터 말하면 미국은 석유 때문에 부자가 된 나라는 아니다. 월드뱅크 자료를 인용한 통계청 ‘천연자원 GDP 기여도’’ 통계에 따르면 석유가 미국 GDP에 미치는 영향은 0.2%에 불과하다고 한다. 반면 이라크는 GDP 대비 32%, 쿠웨이트 32%,
전 세계 원유 생산량 1위 국가는 어디일까?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사우디아라비아, 4위 캐나다, 5위 중국이다. 5위권 내에 중동 국가는 3위 사우디아라비아밖에 없다. 그런데 왜 석유로 부강해진 나라로는 중동 국가가 떠오를까? 세계 1위 미국이 석유로 부자가 된 나라일까? 정답부터 말하면 미국은 석유 때문에 부자가 된 나라는 아니다. 월드뱅크 자료를 인용한 통계청 ‘천연자원 GDP 기여도’ 통계에 따르면 석유가 미국 GDP에 미치는 영향은 0.2%에 불과하다고 한다. 반면 이라크는 GDP 대비 32%, 쿠웨이트 32%, 사우디아라비아 18%다. GDP 대비로 이해하면 석유 부국은 미국이 아니라 중동 국가라는 사실이 이해된다. GDP는 때때로 유용한 수단이 된다.
최근에는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이 급등했다는 기사가 많이 보인다. 우리나라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이 전 세계 1위가 되었다고 한다. 이 또한 우리나라 GDP 대비 부동산 가액이 높다는 사실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특히, 부동산 관련 세금은 취득단계 세금과 보유단계 세금을 나누어서 볼 필요가 있다. 취득세율이 높은 것은 정부 정책 탓이다. 그러나 거래 빈도가 잦아서 거래 세수가 많아진 것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거래세 인하, 보유세 인상이라는 부동산 세제 정상화 방안을 생각해 보면 취득세율 인하 주장은 합리적이다. 다만, 거래세 인하의 전제 조건은 보유세 인상이다. 요컨대 부동산 관련 세금에 대한 기사라면, 거래세와 보유세를 정확히 구분하여 분석해야 한다. 그리고 거래세수도 거래세율과 거래 빈도를 나누어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22년 취업률 기사를 보자. 22년 작년 고용률 및 취업자 수는 역대급 호황이었다. 그런데 이를 전하는 기사를 보면 증가한 취업자 수의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이라며, 청년 및 중장년 취업은 어려웠다는 느낌을 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뉴진스, 빌보드 ‘핫 100’ 진입…데뷔 6개월 만에 K팝 최단 기록그룹 뉴진스가 데뷔 6개월 만에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100’에 진입했습니다. 6개월 만에 빌보드 핫100에 진입한 건 케이팝 아티스트 중 최단기간 기록입니다. 뉴진스 디토 ditto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종훈·장우진·안재현·조승민, 세계탁구 단식 본선 티켓 확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안홍석 기자=남자 탁구 임종훈(16위·KGC인삼공사), 장우진(18위·국군체육부대), 안재현(56위·한국거래소), 조승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과 피범벅 없는 'K복수극'을 미국, 프랑스에선 왜 볼까9개국 넷플릭스 1위··· '장르물 천국' 미국, 프랑스 등서도 톱1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당심·민심 1위 나경원·유승민은 고심, ‘윤심’은 가장먼저 출마선언당심, 민심 1위 후보들은 다 고심하는데... ‘윤심’ 얻었다고 회자되는 후보는 자신만만하게 원내 인사 중 가장 먼저 출마선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