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최고급 나전 상자 환수
나전상자의 국화넝쿨무늬를 확대한 모습.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오랜 유랑은 끝났다. 800여년 전 이 땅의 고려 세공사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최고급 나전칠기 상자가 수백여년간 일본을 떠돌다 고국에 돌아왔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6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일본에서 매입한 13세기 고려 중기의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처음 언론에 내보인다. 나전칠기는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을 말한다. 환수한 나전 상자는 폭 33cm에 높이 19.4cm의 작은 유물이다. 하지만 문양이나 만듦새 등에서 고려 나전칠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빼어난 명품으로 평가된다. 핵심인 문양을 살펴보면, 고려 나전칠기를 수놓았던 국화넝쿨무늬, 모란넝쿨무늬, 점·원 등을 잇따라 연결한 연주무늬가 고루 들어갔다. 최근 일본에서 환수된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세계적으로 20개도 채 되지 않는 고려시대 나전유물을 대표하는 빼어난 유물로 평가됐다.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 개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여 년 이상 보관되면서 현지 학계나 고미술업계 쪽에서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희귀 유물이다. 재단 쪽은 이 유물을 지난해 7월 현지 협력망을 통해 확인하고, 1년여간의 조사와 협상 끝에 지난 7월 환수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현전하는 고려나전칠기 유물은 전세계적으로 20점 안팎에 불과하다. 대부분 외국에 소장된 상황에서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의 문양과 보존 상태는 국내외 고려 나전 유물들을 대표할 정도로 뛰어나며 기존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새 유물을 찾아냈다는 의의도 지대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전국화넝쿨무늬 상자를 풀어낸 모습. 덮개와 내함, 외함의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나전칠기 공예품은 목재, 옻칠, 자개,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쓴다. 작게 오려낸 자개를 일일이 붙여 꽃과 잎의 문양을 장식하는 등 정교하고 복잡한 제작 과정을 거치는 까닭에 ‘공예 기술의 집약체’라고도 일컫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4만5천개 자개 장식’ 국내 3점뿐인 고려 나전칠기, 일본서 돌아왔다국내에 3점 밖에 없는 고려시대의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가 일본에서 돌아왔다. 800여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만5천개의 반짝임, 아찔한 꽃밭…800년 잠든 고려의 미오랜 유랑은 끝났다. 800여년전 이땅의 고려 세공사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최고급 나전칠기 상자가 수백여년간 일본을 떠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에 단 20점...800년 전 고려 빛 담은 '나전국화상자' 일본에서 환수오색찬란한 자개로 새긴 국화 770송이, 구슬을 꿰맨 듯 작은 원을 연결한 연주(連珠) 무늬 1670개, 뚜껑 테두리를 감싸며 피어난 모란… 800년 세월을 거슬러 만난 나전 상자는 고려의 빛을 한껏 뿜어냈다. 고려 나전칠기는 국내에 단 3점 남아 있고, 세계적으로도 20점 미만이어서 매우 희소한 가치를 지닌다. 고려 나전칠기의 대표적인 문양인 국화 넝쿨무늬, 모란 넝쿨무늬 등이 촘촘히 새겨져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이스로 돌아온 류현진, 진화의 비결은?[메이저리그] 패스트볼 구속 하락 이겨낸 류현진, 싱커-커브 활용도 높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7만전자’ 1조원 쓸어담았다…돌아온 외인, 사흘째 ‘사자’한동안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를 멀리 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달 들어 강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한 달 만에 ‘7만전자’에 안착하자 개인투자자들은 차익실현에 나선 반면 외국인들은 집중적으로 사들이며 주가를 받치는 모양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주가가 9만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5일 증권가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500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