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유랑은 끝났다. 800여년전 이땅의 고려 세공사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최고급 나전칠기 상자가 수백여년간 일본을 떠돌다...
나전상자의 국화넝쿨무늬를 확대한 모습. 오랜 유랑은 끝났다. 800여년전 이땅의 고려 세공사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최고급 나전칠기 상자가 수백여년간 일본을 떠돌다 고국에 돌아왔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6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일본에서 매입한 13세기 고려중기의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처음 언론에 내보인다. 나전칠기는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을 말한다. 환수한 나전 상자는 폭 33cm에 높이 19.4cm의 작은 유물이다. 하지만, 문양이나 만듦새 등에서 고려 나전칠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빼어난 명품으로 평가된다. 핵심인 문양을 살펴보면, 고려 나전칠기를 수놓았던 국화넝쿨무늬, 모란넝쿨무늬, 점·원 등을 잇따라 연결한 연주무늬가 고루 들어갔다. 최근 일본에서 환수된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세계적으로 20개도 채 되지 않는 고려시대 나전유물을 대표하는 빼어난 유물로 평가됐다.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 개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여 년 이상 보관되면서 현지 학계나 고미술업계 쪽에서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희귀 유물이다. 재단 쪽은 이 유물을 지난해 7월 현지 협력망을 통해 확인하고, 1년여 간의 조사와 협상 끝에 지난 7월 환수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현전하는 고려나전칠기 유물은 전세계적으로 20점 안팎에 불과하다. 대부분 외국에 소장된 상황에서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의 문양과 보존상태는 국내외 고려 나전유물들을 대표할 정도로 뛰어나며 기존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새 유물을 찾아냈다는 의의도 지대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전국화넝쿨무늬 상자를 풀어낸 모습. 덮개와 내함, 외함의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나전칠기 공예품은 목재, 옻칠, 자개,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쓴다. 작게 오려낸 자개를 일일이 붙여 꽃과 잎의 문양을 장식하는 등 정교하고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는 까닭에 ‘공예 기술의 집약체’ 라고도 일컫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내 개발 'LUSEM' 탑재체로 달 표면 탐사한다... 4일 미국행미 NASA 민간 달착륙선에 탑재 위해 이송... 2024년 달 앞면 저위도 지역 우주환경 관측 수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2,900,000,000원…‘5억원 이상 고가 전세’ 보증사고액 급증고가 전세 보증사고 증가세 2019년 401억원→2022년 813억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주노동자 임금체불 매년 1000억 넘는데…대책은 곳곳에 구멍캄보디아인 A씨는 2015년 6월 한국에 입국해 경기 이천시의 한 농장에서 2020년 3월까지 일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달에 얼음만 있으면...' 물 존재 여부 왜 중요한가? [Y녹취록]■ 진행 : 안보라 앵커■ 출연 : 김대관 항공우주연구원 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채찍' 언급한 美...K반도체도 '풍전등화'지난달 27일부터 나흘간 중국을 방문한 러몬드 미 상무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