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과 한겨레가 1면 보도를 통해 ‘정부와 여당이 전임 정부를 향한 공세에 주력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20일 아침신문 솎아보기입니다. 윤석열정부 윤석열대통령 여당 국민의힘 문재인정부 더불어민주당 경향신문 한겨레 미디어오늘
경향신문과 한겨레가 1면 보도를 통해 ‘정부와 여당이 전임 정부를 향한 공세에 주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한군에 의한 공무원 피살 사건을 정치 쟁점화하고 문재인 정부 수사에 속도를 내는 한편 법인세와 주52시간제 등 과거 정부 정책을 되돌리는 데 중점을 뒀다는 지적이다. 여권은 전 정부 인사의 거취도 문제 삼고 있다.
한겨레도 “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등에게 사실상 사직을 종용한 전 정부 인사들의 거취 문제 역시 또 하나의 전선”이라고 했다. 전 위원장은 18일 “법률이 정한 국민권익 보호라는 그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며 내년 6월까지인 임기를 채울 뜻을 표했다. 경향신문은 “반면 윤석열 정부를 대표할 정책 의제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개별 정책에 대한 평가를 떠나 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자원외교’,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검찰개혁’처럼 역대 정부는 핵심적으로 추진할 개혁 의제와 방향이 분명했지만 윤석열 정부는 모호하다”는 것이다. 경향신문은 “과거 사건만 다뤄온 검사 출신에 편중된 윤 대통령의 좁은 인재 풀”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
신문들은 “하루 40km 주행한다고 가정하면 휘발유 기준 한달에 7000원 정도 추가 절감하게 된다”며 “이로써 휘발유 가격은 일단 L당 57원 정도 낮아지게 되지만 체감 물가 경감 효과는 별로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경제는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대책도 바닥을 보이고 있다”며 “유류세 인하 폭을 높일수록 그 혜택이 고소득층에 집중되며 역진성 논란을 부를 수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취임 후 19일 현재까지 41일 동안 18차례 취재진과 출근길 만남을 가졌다. 경향신문은 “청사에 출근하지 않는 날이나 오전에 외부일정이 있는 날이 아니면 거의 매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소통했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한마디로 기자들의 질문 형태로 전달된 민심”이라며 “윤 대통령이 청와대에 있었더라면 도어스테핑을 하기로 결정하지 않았더라면 바로 마주하기도 직접 듣기도 어려웠을 내용”이라고 했다.중앙일보는 “전임자가 5년간 11차례 기자회견을 하면서 시나리오·질문지·편집이 없는 3무 회견을 했다고 자랑했던 걸 떠올리면 격세지감이 들 정도의 변화”라고 했다. 그러면서 “도어스테핑은 대통령들의 ‘권력형 침묵’에 종지부를 찍은 역사적 변화다. 윤 대통령만이 아닌, 이후 대통령도 따라야 할 전통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유류세 인하율 30→37% 가닥…ℓ당 57원 추가 인하 효과18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유류세 인하 폭을 현행 30%에서 37%로 높이는 방안을 최종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이르면 19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 제1차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유류세 추가 인하 방안을 확정·발표하려 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고유가 대책 내놨다…유류세 인하 폭 30→37% 확대하반기 대중교통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은 현행 40%에서 80%로 두 배 높였습니다.\r고유가 기름값 유류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유류세 37%까지 인하' 오늘 발표할 듯경유와 휘발유 가격이 2천백 원을 넘어서 연일 최고가 기록을 쓰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르면 오늘 새정부 첫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유류세 추가 인하 방안을 발표할 것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30세계박람회 유치경쟁 2라운드…정부·재계·부산시 총력전 | 연합뉴스(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부산, 이탈리아 로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 3파전으로 압축된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경쟁이 2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전기·가스요금 인상폭 최소화…철도·상하수도는 동결(종합)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정부가 전기와 가스요금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