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 한국의 갯벌 보전하려면... 인식과 정책 전환이 필요해
한국의 갯벌은 수많은 조류를 포함한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정보연구소 객원연구원에게 중요한 서식지다. 특히 한국의 갯벌을 서식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들은 여름철과 겨울철에도 관찰할 수 있지만 봄철과 가을철에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들이 더 많다.
특히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가 매년 반복적으로 금강하구의 갯벌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것을 관찰하기도 했다.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뉴질랜드의 '푸코로코로 미란다 도요물떼새 센터'가 보내준 이동경로를 확인해 보면 갯벌이 드러나는 썰물 때는 금강하구의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진 만조 때는 새만금갯벌과 준설토 투기장, 그리고 내륙 지역으로 잠시 이동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결국 수많은 도요물떼새들이 한국의 갯벌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면서 먹이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조 때 휴식지로 이용하는 지역과, 그리고 휴식지와 먹이터를 왕래할 때 이용하는 이동경로상에 인위적인 시설이나 건물을 건설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편 금강하구의 갯벌은 모래가 많은 모래펄갯벌이었던 것이 점점 뻘이 많은 펄갯벌로 바뀌고 있고, 갯벌 표면에 쌓이거나 바다로 유입되는 유기물이나 염양염류가 적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유는 연안에 도로나 제방 등 인위적인 시설이 건설된 것도 한 원인이지만, 금강하굿둑이 건설도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많은 도요물떼새들이 이동하는 경로 구간에 위치한 육상과 해상에 풍력발전 단지가 건설되고 있어서 도요물떼새들의 이동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육상과 해상에 계획하고 있는 무분별한 풍력발전 단지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함양 쌀, 맛있는 이유, '이것' 때문입니다[체험 함양 삶의 현장] 함양농협 하늘가애 육묘장 방문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나도 할 수 있을까[인터뷰] 뜨거운 문제 의식으로 냉정하 연구하는 방법 알려주는 플랫폼 '나이오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대급 입주장인데 ‘이것’ 없다고?…둔촌주공 집주인들 난리난 이유교육부 “학령인구 감소로 중학교 신설 부적절” 서울시, 학교용지 공공공지 전환 검토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K반도체 비상... 원전 10기 수도권에 세울 건가요?[대통령을 위한 반도체 특별과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여기서 멈춰야 하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종보 수달의 흔적이 던진 물음[현장] 세종보 담수 앞두고, 한국수달네트워크가 금강 모니터링에 나선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업안전보건 법률 이렇게 많은데, 왜 이 지경일까[연속기획] 중대재해 막을 수 있다② - 산업안전보건청 신설이 필요한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