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앞두고 ‘멸종위기’ 흰발농게 4만마리 강제 이주…괜찮을까

대한민국 뉴스 뉴스

개발 앞두고 ‘멸종위기’ 흰발농게 4만마리 강제 이주…괜찮을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1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51%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에 분포하는 흰발농게는 수컷의 한쪽 집게다리가 유달리 커 ‘주먹대장’으로 불린다. 해안 개발로 개체수가 급감해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다.

“환경 다른 곳에 이주는 오해”전북 군산시 선유도해수욕장 일대 갯벌에서 멸종위기종인 ‘흰발농게’의 대이주가 펼쳐지고 있다. 게들의 자발적인 이동은 아니다. 게들의 서식지가 개발로 사라지기 때문에 사람에 의해 옮겨지는 것이다. 환경훼손을 사전에 막아 대체 서식지를 확보한다는 명분과 갯벌 파괴에 면죄부를 주는 행위라는 반대 의견이 맞서 있다.

달랑겟과 갑각류인 흰발농게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에 분포한다. 해안 개발로 개체수가 급감해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다. 수컷의 한쪽 집게다리가 유달리 커 ‘주먹대장’으로도 불린다. 선유도해수욕장 일원은 지금까지 확인된 국내 최대 흰발농게 서식처로 63만여마리가 산다. 이주되는 흰발농게는 해수욕장을 따라 설치된 도로 인근 갯벌 1만7000㎡에 사는 4만여마리다. 이주작업에는 돼지비계 미끼를 활용한 트랩으로 흰발농게를 잡은 뒤 인근의 대체 서식지로 옮기는 방식을 주로 쓴다. 흰발농게가 싫어하는 진동을 일으켜 스스로 옮겨가도록 하는 방법도 동원된다. 흰발농게가 이주하는 곳은 이들을 포획한 갯벌에서 250m쯤 떨어진 모래사장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강남의 ‘부동산 개발이익 독식’ 해소해야 마땅하다[사설] 강남의 ‘부동산 개발이익 독식’ 해소해야 마땅하다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자동차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설에서 비롯된 ‘공공기여금’을 둘러싸고 개발 이익 독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있저] 검찰 저격수 최강욱 '윤석열, 장관 지휘 거부하면 형사처벌도 검토해야'[뉴있저] 검찰 저격수 최강욱 '윤석열, 장관 지휘 거부하면 형사처벌도 검토해야'■ 진행 : 변상욱 앵커■ 출연 : 최강욱 / 열린민주당 대표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앵커] 윤석열 검찰총장의 최측근 검찰 간부가 총선을 앞두고 언론과 결탁해서 모종의 공작을 시도했다는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 이 논란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주택 의원 40명이나 되는데…여당 “투기근절” 말발 먹힐까다주택 의원 40명이나 되는데…여당 “투기근절” 말발 먹힐까재산 공개 앞두고 ‘깊어진 고민’ 3채 이상 7명…김홍걸 74억 신고 총선 전 ‘2년내 처분’ 서약서 받아 기간 남았지만 따가운 여론 부담 다주택 세부담 강화 검토 중인데 투기근절 조처 힘 못받을까 우려 매각 이행계획 제출 등 적극 검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집 판다는 약속 지켜라…4년 동안 5억 ↑''민주당, 집 판다는 약속 지켜라…4년 동안 5억 ↑'20차례가 넘는 부동산 대책에도 집값은 잡히지 않고 오히려 서민들의 내 집 마련만 더 힘들어졌다는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오늘 시민단체가 민주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번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에서 집을 여러 채 가진 사람은 한 채만 남기고 팔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그런 국회의원들이 부동산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겠냐고 비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경필 전 지사 위법 행정에 피눈물…2년 새 다 잃었다”“남경필 전 지사 위법 행정에 피눈물…2년 새 다 잃었다”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뤄진 경기도의 결정은 당시에도 논란이 됐다. 한 공무원은 “법적 논란 우려에 (남) 지사가 언성을 높이며 책상을 ‘꽝’ 치는 등 압박했다”고 언론에 폭로하기도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22:4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