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위안부 문제든 독도 문제든 논의된 바가 없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회담장에서 또 다른 청구서를 내민 겁니다.정상회담은 끝났지만 만만찮은 후폭풍이 일고 있습니다.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관방 부장관은 “기시다 총리가 한일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요구했다”고 일본 언론에 전했습니다.문재인 정부 들어 합의를 사실상 사문화시켰는데, 기시다 총리는 당시 일본 외무장관으로 합의를 주도한 인물입니다.
일본 관방 부장관은"기시다 총리가 한일 간 여러 현안에 제대로 대응하고 싶다는 취지를 밝혔다"며"그중에 당연히 '다케시마', 즉 독도 문제도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대통령실 관계자는"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논의된 내용을 전부 다 공개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 공식 발표 위주로 보라"고 말했습니다.실제로 어제 한일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초계기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일본 기자의 질문에, 일본 총리는 이렇게 답했습니다.한국 정부가 '대승적 결단'이라며 강제동원 배상 문제에 대해 해법을 내놓자마자, 일본 측의 추가 청구서들이 날아든 셈이어서, 한일정상회담을 둘러싼 후폭풍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상 최악의 굴욕 외교…윤 대통령, 일본 총독 같은 행보”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16일 전국 곳곳에서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에 반발하는 집회가 이어졌습니다. 집회 참가자들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권리를 짓밟아 만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 '굴욕 외교' '일본 1호 영업사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과도, 배상도 없었다…일본에 완벽히 ‘면죄부’ 준 정상회담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 총리의 직접 사과, 진전된 과거사 인식 표명, 적극적 배상 참여 입장 등은 없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건영 “윤석열 정부안, 문재인 정부 때 일본 비공식 제안보다 후퇴”윤 의원은 일본 정부가 비공식적으로 제시한 안에 대해 “일본 정부가 초기에 제안했던 건 가해 기업, 즉 일본의 전범기업들이 한국의 대법원 판결을 이행하고, 그 다음에 그 돈을 한·일 기업들이 보전을 해주자는 안이었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해법 거부’ 강제동원 피해자들, 미쓰비시 국내 자산 추심 소송 제기'굴욕적인 돈은 받을 수 없다'는 피해자들. 피고 기업으로부터 직접 배상받기 위한 추가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 소액후원으로 민중의소리에 힘을! * 전화 1661-04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시 오른 윤 대통령 국정 부정평가, 강제동원 해법-주69시간제 탓?다시 오른 윤 대통령 국정 부정평가, 강제동원 해법-주69시간제 탓? 윤석열_대통령 주69시간제 국정수행_지지율 전국지표조사 여론조사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