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루마니아서 발주 예고부품·기자재 中企 200곳 화색자격심사 면제·선급금 지급 등정부, 수출기업 전방위 지원
정부, 수출기업 전방위 지원 정부가 8000억원 규모의 이집트와 루마니아 원전 기자재 사업에 참여할 한국 중소·중견기업들에 계약금 융자, 자격 심사 완화 등 패키지 수출 지원에 나선다.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으로 일감이 늘어나면서 고사 위기에 놓였던 국내 원전 업체들이 회생의 기회를 맞은 만큼 보다 속도감 있게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원전 기자재의 수출 물량은 이집트 엘다바 사업과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을 합쳐 104개 품목에서 8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집트 엘다바 사업 6900억원,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 1100억원 등이다. 이날 설명회에는 국내 원전·기자재 부품 기업 200여 곳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이를 위해 원전설비 수출에 나서는 기업들의 각종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우선 한국수력원자력 협력업체 215곳에 대해 해외 사업 유자격 심사를 면제한다. 당초 한수원의 해외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경영·품질·기술 등 3개 분야 심사를 통과해 해외 사업 유자격 공급사로 등록해야 한다.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사업의 경우 기존 유자격 공급사라도 추가 심사가 필요했다. 이 같은 절차를 완화해 기업당 부담을 완화한다는 설명이다.
선금 지급, 융자 지원을 통해 원자재 구매 등 비용 부담도 줄여줄 방침이다. 국내 업체 낙찰 시 계약금액의 15%를 선금으로 지급하거나 계약금액 중 당해연도 이행금액의 최대 70%를 선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계약 선급금은 체결 즉시 지급 가능하다. 선금 비중도 지속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한다. 계약금액의 최대 80%를 융자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이 밖에 한수원은 내부에 전용 상담 데스크를 설치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8000억원’ 이집트·루마니아 원전 설비 수출 일감, 내년까지 풀린다이집트·루마니아로의 원전 설비 수출 사업 기자재 발주가 오는 10월부터 본격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원전 수출 일감 통합 설명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해외 사업 기자재 발주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8월 수주에 성공한 이집트 엘다바 원전 2차 건설 사업, 지난 6월 계약식을 연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 건설 사업의 후속 작업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출보다 수입 더 줄어든 ‘불황형 흑자’에 교역조건 두 달째 상승수출 금액과 물량지수 각각 15.8%, 3.6%씩 하락수입은 금액 25.7%, 물량 10.7% 하락하며 낙폭 더 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출 효자' K팝...해외 매출도 신기록 행진[앵커]K팝 산업이 수출 효자로 자리 잡은 가운데, 올해 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의 일본 수산물 수입금지... 제주, 중화권 판로 확보 '시동'위축된 소비심리 회복 관건, 변화되는 흐름에 맞춰 수출 다변화 모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구대국이 뿔났다…“일본말로 큰소리 내지말라” 日정부 안절부절 ’정치인 방중 막고 여행취소·불매 기류 주중 일본대사관은 “일본어 사용 조심해야” 중국 수산물 수입금지조치에 日 직격탄 러시아는 수산물 중국 수출 확대 꾀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반기에만 15조 감소…고금리·수출 악화에 현금 마르는 기업27일 중앙일보가 매출 상위 20대 기업(금융사 및 공기업 제외)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 총합은 210조2701억원으로 나타났다. 한 재계 관계자는 '고금리·수출 악화 등으로 기업의 영업 현금 흐름 창출 능력이 떨어진 데다, 금리 영향으로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들이 차입금도 줄이고 있다'며 '현금이 돌지 않아 단기 투자 등에 필요한 실탄 장전을 못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업이 기대한 만큼 경기가 나아지지 않은 데다 실적도 개선되지 않아 현금 흐름이 악화한 것으로 본다'며 '미국 등 글로벌 경기와 가계 지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나 유동성 추가 공급 등은 어려울 수 있는 만큼 각 기업이 위험관리 측면에서 유동성 있는 자산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 '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