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독한 겨울' 위기 직면한 유럽…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아침& 라이프

대한민국 뉴스 뉴스

'혹독한 겨울' 위기 직면한 유럽…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아침& 라이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TBC_news
  • ⏱ Reading Time:
  • 82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63%

유럽발 에너지 대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아침& 라이프

전 세계가 치솟는 물가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유럽은 에너지 대란으로 가스요금과 전기요금이 무섭게 치솟았고 우리나라 역시 10월에 큰 폭의 인상이 예고돼 있습니다. 이렇게 줄줄이 공공요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이유, 또 유럽 에너지 대란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오늘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앞서 아침&월드 코너에서 전해 드렸었는데 유럽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9.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을 했습니다. 미국이 지난 6월에 9.1%를 기록했을 때도 41년 만에 최고치라고 난리가 났었는데 유럽도 그 충격이 상당할 것 같아요.

[정철진 경제평론가: 그렇습니다. 유럽지역은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의 가장 직격탄을 맞는 곳이죠. 특히 어떤 부분이 연결고리냐. 바로 에너지 쪽입니다. 러시아가 석유, 천연가스 강국이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시작된 에너지 대란으로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인데요. 지금 화면에서 나오고 있지만 유로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를 넘어서게 됐습니다. 그런데 더욱 중요한 것은 저게 끝이 아니라는 것이죠. 현재 나오고 있는 에너지 대란의 분위기를 본다면 아마도 다음 달 특히 연말, 겨울이 되면 될수록 저 에너지 대란을 통한 물가상승의 문제는 훨씬 더 커질 수가 있기 때문에 벌써부터 유럽 쪽에서는 저 에너지 대란에 대한 문제가 커지고 있는 겁니다.]러시아가 경제제재에 반발해서 에너지를 무기 삼아 횡포를 부리고 있지 않습니까? 프랑스와 독일의 가스공급을 중단했고요. 자칫하면 유럽이 겨울에 난방을 못할 거라는 얘기도 나와요.

[정철진 경제평론가: 그렇습니다. 유럽지역의 난방, 천연가스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요. 큰 틀에서의 세계 천연가스 시장을 두 축으로 나눕니다. 유럽 쪽 지역에서 사용하는 천연가스, 미국이 공급하는 천연가스, 라고 하죠. 그런데 지금 문제는 유럽 쪽에서의 천연가스 공급의 거의 40% 가까이, 그 이상을 거의 80%, 국가에 따라서는 러시아가 공급을 하고 있다는 것이고요. 바로 이것을 끊었다가 공급했다 하면서 천연가스발 에너지 대란이 나오고 있는 건데요. 최근 같은 경우에 나왔던 이슈를 보면 가스관을 통해서 러시아가 독일에 많이 공급을 하는데 뻑하면 갑자기 가스관을 보수해야 돼, 이렇게 몇 주씩 가스를 중단하게 되면 독일은 속수무책인 거고요.

[정철진 경제평론가: 이미 5월과 7월에 올렸고요. 이제 10월에 거의 올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고 확실시되고 있고 그 폭도 지금 가스, 천연가스 요금 올라간 것을 보면 큰 폭의 인상이 불가피하지 않을까, 이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비단 가스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죠. 전기료 같은 경우에도 지금 전력대란이기 때문에 우리가 누르고 눌렀지만 결과적으로 상당폭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한국전력 같은 경우에는 이대로 가면 벌써 적자 규모가 30조 이상 되게 되니까 전기요금 현실화도 할 수밖에 없는데 설상가상 지금 큰 문제는 원화약세, 환율 급등입니다. 우리는 결국 가스든 석유든 사와야 되는데 이 원화 약세 때문에 안 그래도 올라간 가격이 더 크게 올라가게 되는 수입물가의 급등도 또 하나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도시가스 요금뿐만이 아니라 전기요금이나 건강보험료까지 인상이 예고돼 있는 상황이에요.

[정철진 경제평론가: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로 눈을 돌려보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였고요. 당국에서는 10월, 11월 정도를 인플레이션 고점으로 보고 있고 한국은행은 내년 상반기 정도를 물가 고점으로 보고는 있는데요. 이런 식으로 지금 공공요금발 인플레가 나온다면 글쎄요, 당분간 우리가 우리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고점이 9월일 거야, 10월일 거야, 11월일 거야를 예단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올 하반기는 서비스 물가, 에너지 물가 이것뿐만이 아니라 공공요금, 그동안에 눌러왔던 공공요금발 물가상승도 또 하나의 큰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TBC_news /  🏆 3.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러시아, 프랑스에 가스공급 전면 중단러시아, 프랑스에 가스공급 전면 중단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텔레그램을 통해 '다음 달 1일부터 가스 대금을 다 받을 때까지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하기로 했고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 '프랑스에 가스 공급 중단'…유럽, 겨울 앞두고 '긴장'러 '프랑스에 가스 공급 중단'…유럽, 겨울 앞두고 '긴장'러시아가 대금 지불 문제로 내일부터 프랑스에 대한 가스 공급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의 에너지 위기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순식간에 극과 극... 알프스 빙하에서 벌어진 일순식간에 극과 극... 알프스 빙하에서 벌어진 일순식간에 극과 극... 알프스 빙하에서 벌어진 일 오스트리아 기후위기 폭염 비엔나 한소정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디아블로:이모탈’ 때문에...해외서도 ‘확률형아이템’ 논란‘디아블로:이모탈’ 때문에...해외서도 ‘확률형아이템’ 논란국내 게이머들의 불만인 '확률형아이템'이 해외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 오르자 예·적금 껑충…'갈아타야 하나' 고민된다면|아침& 라이프금리 오르자 예·적금 껑충…'갈아타야 하나' 고민된다면|아침& 라이프'요즘 재테크 할 곳이 없다.' 이런 말씀하는 분들 많습니다. 부동산과 주식시장이 모두 부진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가운데 기준금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림선 승객수 예상치 절반에도 못 미쳐…'연 120억 지원 필요' | 연합뉴스신림선 승객수 예상치 절반에도 못 미쳐…'연 120억 지원 필요'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김준태 기자=개통 100일을 앞둔 서울시의 두 번째 경전철 신림선 승객이 예상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17:5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