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디즈니+ 세련된 신파+영리한 전략
지난 2달간 이슈의 중심에 있었던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 . 은 600억가량의 제작비, 조인성, 한효주, 류승룡 등 화려한 라인업으로 인해 엄청난 관심을 받았다. 마냥 긍정적인 기대는 아니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우선 디즈니+가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흥행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오리지널 콘텐츠 팀이 없어졌다는 말이 들릴 정도였다.
실제로 은 세 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장주원-장희수, 김두식-이미현-김봉석, 이재만-이강훈 가족의 이야기가 교차되면서 마지막 결전을 향해 달려간다. 이들이 어떻게 국정원 요원이 되었고, 사랑에 빠졌으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어떤 시련을 겪어야 했는지를 중점적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에서 초능력은 동경의 대상이 아니다. 그저 가족을 비극에 빠뜨리는 트리거다. 액션도 쾌감보다는 애절함이 크다. 특히 초능력자판 을 보는 듯한 스토리가 핵심이다. 극 중 부모 세대는 시대의 피해자다. 안기부에서 이용당하다가 버려지거나 범죄와의 전쟁에서 살아남은 이들. 무장 공비 때문에 인생이 바뀌고 청계천 정비 사업에서 일상을 잃은 이들. 그들이 어떻게 한국의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버텨냈는지를 들려준다. 그러니 시청자 입장에서는 수많은 주인공과 가족의 서사 중 최소한 하나에는 공감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이 과거만 회상하며 눈물샘을 자극하는 드라마는 아니다. 과 달리 은 신파를 눈물을 자아내는 수단 그 이상으로 활용한다. 은 과거를 비춘 후, 미래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산업화, 이념 전쟁, 민주화, 노동 인권 투쟁 같은 시대적 과제를 해결한 기성세대의 경험이 어떻게 다음 세대로 이어져야 할지를 고민한다.
이는 의 가족애와 신파가 세련된 이유다. 단순히 눈물을 자아내는 게 아니라, 눈물로써 공동체의 고민도 한 번 더 생각하게 만든다. 직접적이지는 않아도, 속 가족들의 고민은 현재 한국 사회의 불안과 맞닿아 있다. 과거의 성공 방정식이 오히려 미래 세대의 발목을 붙잡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는 사회가 잘못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가 속 가족애와 자연스레 결부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신파로 시청자를 끌고 가는 장르적 접근도 인상적이다. 은 처음부터 가족 드라마를 보여주지 않는다. 로맨스로 문을 열고, 액션으로 눈을 사로잡은 후, 눈물을 자아내며 출구를 막는다. 특히 로맨스가 눈에 띈다. 로맨틱 코미디, 정통 멜로, 청춘 로맨스까지 다양한 장르를 종합선물세트로 보여주면서 다방면으로 시청자를 끌어 모으는 1등 공신이기 때문.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빙, 美 매체 극찬 '마블 능가, 현존하는 최고 히어로물'미국의 유력 매체 롤링스톤이 한국 제작진이 만든 디즈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빙'으로 홈런친 디즈니+, '한강' 반응은 영...[리뷰] 등 전작 대비 부족한 구성... 여전히 예측 힘든 디즈니+ 미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무빙’ 류승룡 “신파 거부감 있었지만...이번엔 도전해보고 싶었다”“다들 신파에 대한 거부감이 있잖아요. 저 역시도 있고요. 그런데 연기 인생에 이건 한 번 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특허 전략은 필요 없다특허 너무 많이 확보하는 게 유리한 것만은 아니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재규 매직' 통했다 한투 TDF 수익 1위올 평균수익률 13.55% 달해TDF중 유일하게 10% 넘겨강달러에 환노출 전략 주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무빙’ 류승룡 “신파 거부감 있었지만...이번엔 도전해보고 싶었다”“다들 신파에 대한 거부감이 있잖아요. 저 역시도 있고요. 그런데 연기 인생에 이건 한 번 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