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 다큐 제작한 송원근 감독
남북 대화의 상징인 판문점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 이 오는 19일 개봉한다. 배우 박해일이 내레이션을 맡은 은 정전협정을 시작한 1951년부터 아무것도 열리지 않는 판문점의 현재 모습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은 2019년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의 송원근 감독이 연출한 두 번째 작품이다. 영화를 어떻게 제작하게 되었는지 들어 보고자 지난 12일 서울 충무로 근처에 있는 뉴스타파 함께센터에서 송 감독을 만났다. 다음은 송 감독과 나눈 일문일답을 정리한 것이다."5년 전에 을 개봉한 경험이 있어서 이번에는 그때만큼 떨리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편인 것 같아요. 영화는 관객들이 보고 해석하는 영역으로 넘어가는 장르예요. 관객들이 어떻게 봐주실지 기대하고 있고요. 다큐멘터리 영화이기 때문에 흥행에 대한 큰 목표보다는 지금 남북 관계가 경색되어 있는데, 이 영화가 어느 정도 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2021년 뉴스타파에서 3부작을 제작했는데, 그게 시작이었어요. 그때 3부작 중 판문점에 관련된 부분은 미국 국립문서관리기록청에 있는 자료들을 참고해 역사 다큐멘터리를 만들듯이 제작했어요.
"박해일씨는 역사에 관심이 많은 배우예요. 병자호란을 다룬 에 출연했고, 에도 주인공으로 출연했죠. 2022년에 개봉했던 에서 이순신 장군 역할을 맡기도 했고요. 쉬는 날에는 다큐멘터리를 본다고 말할 정도로, 다큐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으시더라고요. 지난해에 섭외 연락을 드렸는데, 당시 정전 70주년이었어요. 정전 70년을 맞아, '판문점'이라는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고 있다고 제안을 드렸고 기획안과 원고, 편집된 영상을 보시고 충분히 의미가 있겠다면서 수락하셨죠.""'판문'이 넓은 문이 있는 주막이거든요. 예전에 그 지역이 우리나라 말로 '널문리'에 주막이 있던 자리예요. 보부상 등 장사하는 사람들이 개성으로 들어가기 전 머물렀던 마을이 이미 조선시대부터 존재했고, 실제 1910년대에 일제가 제작했던 우리나라 지도를 보면 판문점이라고 쓰여 있어요.""체결되기까지 2년이 걸린 거죠.
"그때 정전협정의 주체에 우리나라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건 지금까지도 답답한 상황을 만들죠. 실제로 현재 비무장지대 판문점의 관리 주체는 UN군이니까요. 우리나라 지역이지만 관할은 UN군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고위직이나 대통령이 판문점에 방문하려고 해도 UN군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안타깝죠."- 1972년 미국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합니다. 그 영향으로 7·4 남북 공동성명이 나온 건가요? "영향이 있죠. 그러니까 정전협정 때도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이나 소련 스탈린의 죽음이 영향을 미쳤던 것처럼, 당시 남북도 평생 적으로 붙어서 싸울 줄 알았는데 전쟁을 치른 미국과 중국이 만나서 악수하고 사진을 찍는 모습을 본 거죠. 화해 모드, 이념적으로는 다르더라도 경제적 교류는 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우리나라도 변화가 필요했던 때였죠. 북한의 김일성이나 남한의 박정희 대통령도 체제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어요. 서로 교류도 하는 모습도 보여줄 정치적인 이유도 있었기 때문에, 당시 남북 공동성명은 세계 흐름의 일환이었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군인은 양측의 체제를 대표해서 근무를 서고 있기 때문에, 친구처럼 어깨동무하는 사이야 당연히 아니었을 거예요. 그래도 근무하면서 이름이나 고향을 묻는 정도는 했었다고 해요. 당시 미군이 이를 많이 신경을 썼다고 합니다. 남북 병사들이 이야기를 나누면 미군이 못하게 했다는 얘기가 있어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후행동 100번째 가족 걷기 '지금 당장 행동하라'창원기후행동, 25일 오후 '기후가족걷기' 벌여... 초등학생 등 '기후선언' 이어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일만 석유-가스전 개발은 기후위기 시대 역행'창원기후행동 "시추 계획 당장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확대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깨도 들 수 없는데, 복귀하라는 근로복지공단[지금 지역에서는] 울산지역 근로복지공단 부당사례 대응과 산재보험 개악 저지 활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태령에서] 교실 속 '금쪽이'를 위한 변명아이들이 "나는 지금 아파요"라고 신호를 보낼 때, 우리는 무엇을 했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골초' 아이가 제시한 담배 피우는 애 반으로 줄이는 법[아이들은 나의 스승] 학교는 지금 흡연과의 전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출산 위기 대책은 새마을운동이 아니다[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젊은이 마음 얻을 진정성 있는 노력, 지금 시작되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