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10억원 안팎의 퇴직금을 받은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주요 은행이 지난해 말 이후 퇴직자에게 1인당 평균 6억~7억원의 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바탕으로 수천억원을 퇴직 비용으로 지출했다. 금리 상승기 거둬들인 이자 수익으로 은행이 퇴직자에게 목돈을 챙겨주고 있다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한‧KB국민‧우리은행 등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 희망퇴직금 비용을 반영해 발표했다. 각 은행은 4분기 직원의 희망퇴직 비용으로 1인당 3억4400만원~4억4300만원을 책정했다. 앞서 지난해 말 이후 5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자는 약 2200명이었다. KB국민은행이 71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NH농협 493명, 신한 388명, 우리 349명, 하나 279명 등 순이었다.
우리은행은 희망퇴직자 대부분이 정년을 앞둔 고연차 직원으로 구성돼 1인당 평균 금액이 컸다. 신한은행은 올해 희망퇴직 신청 대상 직급을 부지점장 이하, 연령은 만 44세로 낮췄기 때문에 1인당 평균 금액이 낮은 편이었다. 하나은행은 올 1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할 예정이다.은행원이 받는 퇴직금은 희망퇴직금이 다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퇴직할 때 지급하는 법정 퇴직금도 수억원에 이른다. 법정 퇴직금은 통상 퇴직 전 3개월 임금 평균에 근속연수를 곱해 계산한다. 2021년 각 시중은행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은행의 평균 근속연수는 약 16년이었다. 1인당 평균 급여액은 9700만~1억1200만원이었다.
은행이 수억원대의 희망퇴직금을 지급하면서까지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은행의 디지털화를 통한 장기적인 경영 효율 개선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점포 수 축소와 신규 채용 등을 이유로 매년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있다. 은행 내부에선 희망퇴직이 정례화하며 일종의 복지제도로 인식되는 분위기도 일부 있다. 익명의 은행권 관계자는 “희망퇴직 제도를 은행의 장점 중 하나로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빠 찬스에 진절머리' 4년 전 곽상도는 이렇게 말했다'아빠 찬스에 진절머리' 4년 전 곽상도는 이렇게 말했다 곽상도 아빠찬스 무죄 조국 이주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표가 “단둘이 회식하자”…원치 않는 구애는 범죄입니다‘구애 갑질’, 직장인 10명 중 1명이 경험…구애 거절→괴롭힘 직장갑질119가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직장인 10명 중 1명이 직장에서 원치 않는 구애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루이뷔통도 제쳤다…3065억 원 딱 걸린 '짝퉁' 브랜드 1위는 | 중앙일보최근 5년간 해외에서 수입된 '짝퉁' 명품 규모가 2조원을 넘었습니다.\r명품 짝퉁 수입 브랜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남대서 라면 먹게 해달라' 60억 적자에 꺼낸 '도지사 승부수' | 중앙일보옛 대통령들의 별장이었던 청남대에 모노레일과 케이블카 설치가 추진됩니다.\r청남대 관광 모노레일 케이블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로야구 10개 구단, 588명 등록…지난해보다 18명 줄어한국프로야구 KBO리그 10개 구단이 2023년 총 588명을 정식 선수로 등록했습니다. KBO는 오늘 2023년 KBO리그 소속 선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KY 정시 붙고도 안 갔다…등록 포기한 906명 몰려간 곳 | 중앙일보서울대는 104명, 고려대는 343명, 연세대는 459명이 등록을 포기했습니다.\r대학교 SKY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