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그동안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사찰 주변을 지나는 등산객들에게 입장료를 받아 이른바 '통행세' 논란이 불거졌는데요.하지만 오늘부터 조계종 산하 사찰들이 문화재 관람료를 받지 않습니다.전국 65개 사찰이 대상이라고 합니다.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성우 기자![기자]네,...
하지만 오늘부터 조계종 산하 사찰들이 문화재 관람료를 받지 않습니다.그동안 사찰 주변을 지나려면 내야 했던 문화재 관람료가 오늘부터 없어진 거죠?그래서 그동안 법주사 측은 문화재 보존 비용 등을 이유로 성인 1인당 5천 원의 문화재 관람료를 받아왔습니다.문화재청과 조계종이 문화재 관람료 지원과 관련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겁니다.
이에 법주사와 해인사, 불국사 등 조계종 산하 65개 사찰을 지날 때 무료로 입장할 수 있습니다.매표소를 안내소로 바꿔 불교 문화 조성과 안전 관람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겁니다.문화재 관람료가 폐지되면서 법주사 인근 상인들은 관광 활성화에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정부와 조계종은 관광객 증가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면서도, 문화재 훼손과 시민 불편 상황에 대비해 대책을 마련할 예정입니다.[전화] 02-398-8585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초·중학생 20% 이상 '의대 진학 위해 공부'초등학생과 중학생 5명 중 1명 이상은 의학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 전공 선택 이유로는 '적성에 맞는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 중학생 의대 의사 대학전공 의학계열 적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광주 비엔날레 ‘박서보상’ 간판 내린다…5·18 정신 훼손 논란광주정신을 바탕으로 한 비엔날레의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역 미술인들의 거센 반발과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박서보 예술상이 1회 시상을 끝으로 간판을 내리게 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버이날 선물 고민? ‘부모님은 현금이 좋다고 하셨어~’어버이날에는 10명 가운데 6명이 선물로 ‘용돈’을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평균 예산은 33만6천원 수준이었습니다. 건강식품(10.2%), 의류·패션잡화(6.5%) 등은 용돈에 견줘 비중이 작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돈 줄게' 접근해 화장실서 미성년자 성착취물 제작한 일당청소년 대상 성 착취물을 제작한 20대 A씨는 '담배를 사주겠다', 50대 B씨는 '용돈을 주겠다'고 접근했고, 이들은 불법 촬영물을 건당 5천원에서 5만원에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착취물 불법촬영 청소년 N번방 디지털성범죄 오픈채팅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