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학원비 43만원?' 월 130만원 쓰는 부모가 의아한 이유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초등생 학원비 43만원?' 월 130만원 쓰는 부모가 의아한 이유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학원비로 한 달 40~50만원만 쓴다 하면 '자녀를 방치한다'는 소리를 들을 것' 자녀 학원비 교육부

11세 아들을 둔 워킹맘 신모씨는 매달 학원비로 130만원을 쓴다. 국·영·수 학원에 100만원, 수영·태권도 학원에 30만원이 들어간다. 교육부·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사교육 참여 초등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의 세 배 수준이다. 신씨는 “주변에서 학원비로 한 달에 40만~50만원만 쓴다고 하면 ‘자녀를 방치한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라며 “국·영·수만 해도 한 달에 100만원씩 들어가는데 통계는 어떻게 나온 수치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사교육비 조사의 수치가 현실과 동떨어진 원인은 우선 '평균의 함정' 때문이다. 사교육비 조사는 전국 초·중·고 3000여곳의 학부모 7만4000명을 설문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매년 5월과 9월, 2차에 걸쳐 각각 봄·여름철 사교육비를 과목별, 사교육 방식별, 월별 얼마나 지출했는지 구체적으로 적는 식이다. 서울 학군지에 사는 고소득층부터 학원 인프라가 없는 읍·면 지역에 사는 저소득층까지 모두 포함해 통계를 내기 때문에 평균 수치는 낮게 나온다. 교육부가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별, 지역별 다양한 통계를 제공하는 이유다.해석상 ‘평균의 오류’를 차치하더라도 조사 곳곳에 한계가 있다. 먼저 봄·여름철 사교육비만 따지기 때문에 학년이 바뀌는 겨울 방학 기간의 사교육비를 집계하지 않는다. 겨울 방학에는 다음 학년을 선행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경우가 많다. 학원도 선행 학습 마케팅에 열을 올린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소득 가정, 자녀 학원비 월 114만 원 써…서민 가구는 학원비 〉식비+주거비고소득 가정, 자녀 학원비 월 114만 원 써…서민 가구는 학원비 〉식비+주거비중고등학교 자녀를 둔 고소득 가정은 학원비로 한 달 평균 114만 원가량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500만원 써요'…11% 폭등한 간병비가 무서운 진짜 이유 | 중앙일보'월 500만원 써요'…11% 폭등한 간병비가 무서운 진짜 이유 | 중앙일보간병인을 고용하는 데 필요한 간병비 물가가 최근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간병인 간병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남시, 다문화가족 자녀 예체능 학원비 지원... 월 최대 10만원성남시, 다문화가족 자녀 예체능 학원비 지원... 월 최대 10만원성남시, 다문화가족 자녀 예체능 학원비 지원... 월 최대 10만원 성남시 학원비지원 신상진 다문화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후쿠시마 원전부지 경계 이미 “기준치보다 9배 오염”...그런데 기준치 이하로 방류?후쿠시마 원전부지 경계 이미 “기준치보다 9배 오염”...그런데 기준치 이하로 방류?“사기극”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미 후쿠시마 원전 부지경계 연간 피폭선량은 기준치보다 3~9배나 되는데, 기준치를 지켜서 오염수를 방류한다니...이게 무슨 말인가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초거대 AI 기술 가진 회사와 쓰는 회사로 나뉠 것”“초거대 AI 기술 가진 회사와 쓰는 회사로 나뉠 것”“초거대 AI 연구를 시작한 건 2020년 5월 (오픈 AI가 만든) GPT3 발표 시점부터다. 성낙호 현 하이퍼클로바 총괄과 당시 두 달 정도 GPT3를 써봤다. 앞으로 이 기술을 가진 회사와 이 기술을 쓰는 회사로 나뉘게 될 거라는 생각이 들더라. 바로 경영진에 이 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20년 후 검색 기반의 리더 포지션이 흔들리게 될 것 같다고 보고했다.”오는 8월 초거대(LLM·Large Language Model) 언어모델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AI) ‘큐:’ 공개를 앞둔 네이버의 하정우(46) 네이버클라우드 AI Inn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4:2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