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지금... '포기 없는 연대, 미래로 이어지게' 시민단체 국제심포지엄 일본군성노예제 윤종은 기자
"정신 차리지 않으면 또 당합니다!"라고 말씀하신 김학순 할머니와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라고 말씀하신 김복동 할머니는 결국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의 결말을 보지 못한 채 한을 안고 세상을 떠났다.
16일 오후 1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여러 국회의원들과 한국, 일본, 독일, 호주 등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을 펼치고 있는 활동가들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 계승과 연대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열었다.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일본군성노예제 문제는 제2차세계대전 시 일본군에 의해서 조직적으로 자행된 전시 성폭력 문제"라면서"당연히 가해자 일본 정부는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배상 등 법적 책임을 이행해야 했으나 전쟁이 끝난 후 전시 성폭력 범죄를 은폐하기에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일본 정부는 피해자들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는커녕 여전히 전시 성폭력 범죄를 부정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는 평화의 소녀상 건립 활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 윤석열 한국 정부는 '위안부'피해자분들의 명예,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천명하면서도 일본에게 이 문제에 대한 공식 사죄나 법적 배상에 대해 한마디도 못하고 관계개선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김선실 전 정대협 공동대표는 '한국에서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 30년'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1992년 정대협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범국민모금을 시작할 때 활동에 참여하게 됐다"면서"한국에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운동은 기생관광을 반대하며 시작됐고 이후 정대협은 다양한 방법으로 전시 성폭력 피해자의 지원체계를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이후 한일 여성단체의 연대 등으로 활동영역을 넓히는 가운데 2차대전 당시 각국의 피해자를 지원하는 재판지원 운동도 전개했고 2000년 들어 우파세력들의 맹공격에도 불구 2000년 12월 여성국제전범법정이 열리기까지 했다. 이후에도 '의견서 채택운동'과 '전국행동' 결성으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을 이어갔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동연, '尹 정책' 비판…'불통과 공안정국 벗어나야'윤석열 김동연 소통 불통 정책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5일 '윤석열 정부의 불통과 일방적 밀어붙이기는 결국 경제파국, 민생파국의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설현장 돌며 2억 뜯어낸 건설노조 간부 2명 구속 [영상] | 중앙일보해당 단체는 소규모 노조로 실체가 불분명합니다.\r건설 노조 현장 협박\r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25 전사 무명용사 214명 합동봉안식…3명 국립묘지 안장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6·25전쟁에서 나라를 지키다가 산화한 이름 없는 용사들이 영면에 들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젤렌스키 '지금 전쟁 멈추면 러시아는 더 강력해질 것' | 연합뉴스(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금 전쟁을 중단하면 러시아는 더 강력해져서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장동 키맨' 김만배 극단 선택 시도…'생명에 지장 없어'대장동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만배 씨가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가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