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술과 그의 시대' 학술회의... '역사학 연구 성찰 계기'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이관술과 그의 시대' 학술회의... '역사학 연구 성찰 계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81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1%

'이관술과 그의 시대' 학술회의... '역사학 연구 성찰 계기' 이관술과_그의_시대 수선사학회 성균관대_동아시아역사연구소 이관술 임재근 기자

일제강점기 1930년대 이후 사회주의 독립운동에 나섰고,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 재정부장을 맡던 중 조선정판사 사건으로 미군정에 의해 구속됐다가 한국전쟁 발발 직후 군경에 의해 총살당한 이관술의 삶과 시대를 재조명하는 학술회의가 개최됐다.학술대회를 공동주최한 수선사학회 김경호 회장과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오제연 소장은 학술회의 모시는 글을 통해 "이 학술대회는 사회주의를 배제하거나 저평가해 온 기존의 역사학 연구에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의의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 근대사와 독립운동사 연구의 문제 지평을 확장하는 현장이 되리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이날 학술회의는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 이관술의 삶과 시대를 종합적으로 재조명했다. 첫 번째 발제로 나선 한국사회조사연구소 박한용 연구원은 반제동맹사건을 중심으로 이관술의 삶은 살펴봤다.

박한용 연구원은 반제동맹경성준비위원회는 이관술의 민족해방운동 첫 번째 조직활동이었고, 교사라는 첫 직업은 이 사건에 연루되면서 그의 마지막 직업이 됐지만 이 조직운동을 통해 '직업적 혁명가'라는 평생의 직업을 얻었다고 평가했다.두 번째 발표에 나선 동국대학교 전명혁 연구교수는 1934년 4월부터 1935년 1일까지 조선공산당경성재건그룹 활동, 1935년 1월부터 1936년 12월까지 '조선공산당재건경성준비그룹' 활동, 그리고 1937년 1월부터 1938년 12월까지 '콤그룹'까지의 활동을 기록을 바탕으로 이관술 활동을 재구성해 발표했다.

이어 성균관대학교 임경석 교수는 경성콤그룹 사건으로 체포된 이관술의 신문조서를 소개하며, '피의자 신문 조서'를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다. 임경석 교수는 피의자 신문조서에 등장하는 조직과 인물에 관한 진술은 다른 자료에 의해 교차 점검이 될 때에만 신뢰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차 점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근거로 채택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조직과 인물에 대한 위해가 없거나 이미 증거가 드러난 사안에 관한 진술은 교차 점검 없이도 채택 가능하다고 덧붙였다.네 가지 주제 중 세 개의 주제가 일제강점기를 다뤘다면 마지막 발표는 유일하게 해방 이후 시기를 다뤘다. 네 번째 발표를 맡은 한국외국어대 임성욱 교수는 그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정판사 위폐 사건'이라 불리는 사건은 미군정에 의한 조작사건이기 때문에 '정판사 위폐 사건 '조작' 사건'으로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욱 교수는 조작 사건을 통해 미군정은 조선공산당 최고위급 간부이자 당의 재정을 담당했던 이관술을 화폐 위조 주범으로 몰아 죄를 뒤집어씌워 미군정의 식량 정책, 경제 정책 실패에 따른 당시 조선 민중들의 미군정에 대한 불만과 분노, 비난을 온전히 조선공산당에 전가시켰다고 말했다.발표를 마친 후에는 각각 토론이 있었고, 발표와 토론이 끝난 후에는 종합토론으로 이어졌다. 토론에는 연세의료원 정용서 학예연구실장, 동아대학교 조형열 교수, 한남대학교 박종린 교수, 서울대학교 정용욱 교수가 자리했고, 종합토론은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경일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이날 학술회의 주제 인물이었던 이관술은 1902년 울릉도에서 태어나 다섯 살 무렵 울산으로 이주했다. 1929년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동덕여고에서 근무했고, 1932년 10월부터 반제동맹 결성활동을 하던 중 1933년 1월 체포돼 1934년 4월에 석방됐다. 이후 일제강점기 후반기 대표적인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로 활약했다.

해방 후에는 정치여론조사에서 '조선을 이끌어갈 지도자'로 여운형, 이승만, 김구, 박헌영에 이어 5위에 선정될 만큼 각광받던 인물이었지만, 1946년 5월 초 '조선정판사 위폐 사건 조작 사건'으로 체포돼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대전형무소에 수감됐던 이관술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7월 초 산내 골령골로 끌려가 군경에 의해 총살당했다. 이에 대해 2015년 3월 27일 대법원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이관술에 대한 총살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지구 자전축 흔든 주범 찾았다…NYT도 주목한 서울대 연구 | 중앙일보지구 자전축 흔든 주범 찾았다…NYT도 주목한 서울대 연구 | 중앙일보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의 연구가 국제적인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서기원교수 연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편의점 도시락 나트륨 함량 과다…'일일 기준치 최대 86%' | 연합뉴스편의점 도시락 나트륨 함량 과다…'일일 기준치 최대 86%'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고물가 시대 식사 대용으로 인기를 끄는 편의점 도시락의 나트륨 함량이 높아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메가스터디·시대인재 등 입시학원 전격 세무조사‥'이례적·대규모'메가스터디·시대인재 등 입시학원 전격 세무조사‥'이례적·대규모'오늘 국세청이 메가 스터디와 시대 인재 등 대형 입시 학원들에 대해서 세무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대통령과 정부 여당이 가리키는 이른바 '사교육 이권 카르텔'의 핵심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구실 냉동시설 경고음에 전원 껐는데…‘20년 된 세포’ 날아갔다연구실 냉동시설 경고음에 전원 껐는데…‘20년 된 세포’ 날아갔다청소 관리인이 경고음을 끄려고 냉동시설 전원을 내렸다가 20여년 동안 공을 들여온 연구 자료가 훼손되는 사고가 났습니다. 대학 측은 용역 계약을 맺고 있는 회사를 상대로 계약 위반과 관리인 교육 및 관리 잘못을 이유로 13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400만 영향권 메트로폴리탄' 대구시 50년 전망, 근거 '황당''1400만 영향권 메트로폴리탄' 대구시 50년 전망, 근거 '황당''1400만 영향권 메트로폴리탄' 대구시 50년 전망, 근거 '황당' 대구 백경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16: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