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바닥에 씨앗 뿌린 정당들...청년이 클 수 있나' 청년정치 황은주 박소희 기자
"제가 처음 정당 생활 시작할 때 받았던 임무가 '청년위원회 행사를 개최하라'였다. 그래서 '예산이 얼마냐'고 물었더니 대관료 30만 원 밖에 없고 나머지는 알아서 해야 된다더라, 제가 돈을 쓰든지. 너무 이상해서 당에 얘기했다. '집권 여당인데 왜 제 돈을 쓰면서 당 행사를 해야 하냐'고 했더니 '당에서 돈 얘기하면 안 된다. 너는 그런 직책을 부여받은 것만으로도 혜택받은 건데 뭘 바라느냐'는 피드백을 들었다. 여전히 정치를 '누리는 자리'로 봐서 그런 것 같다."
지난해 6.1 지방선거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에 따르면, 기초의회 의원 선거비용 한도는 4200만 원이다. 황 대변인은"그런데 할부가 안 된다. 카드 결제 안 되고, 현금으로 바로 내야 되는 돈이 그 정도"라며"우여곡절 끝에 취업해도 인수인계서가 없고, 일 가르쳐주는 사수도 없고, 모든 걸 다 혼자 해야 한다. 해고되거나 계약이 중간에 해지되더라도 실업급여나 퇴직금을 받을 수 없다"고 짚었다."과연 이게 청년들한테 괜찮은 일자리일 수 있는가"라고 재차 물었다. 황 대변인은"정치에서 정말 중요한 역량은 문제해결 역량이고, 이건 결국 현장에서 실제 정치적 활동을 하면서, 부딪치면서 깨달아야 하는데 그런 무대 자체가 너무 부족하다"며"그러다보니 선거 때마다 젊은 인재를 이벤트식으로 공천한다"고 봤다. 이어"그런 것도 분명 필요하지만 정당은 그렇게 영입, 공천하고 나면 끝이다. 더 이상 책임지지 않는다"며"이 사람이 어떻게 정치영역에서 배워나가고 성장할지에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 54만명…'삶에 매우 불만족' 응답률 3배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권지현 기자=타인과의 의미 있는 교류 없이 사실상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이 100명 중 5명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버랜드 '매직트리'서 난 불…갑자기 등장해 소화전 물 뿌린 이 남자 | 중앙일보쉬는 날 아내·아들과 있던 그. 직접 소화전 물을 뿌렸습니다.\r에버랜드 매직트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달만에 벌떡 일어났다…휠체어 없인 못 걷던 60대의 기적 | 중앙일보'모든 치료의 출발점은 '이것'이다'\r척추 디스크 허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놀다 치아 빠진 내 아이…식염수 없다면 '여기' 넣어 병원 가라 | 중앙일보일상에서 흔히 겪는 상황별로 올바른 응급처치법을 알아봤습니다.\r응급처치 병원 건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 굶어도 살 빠진다…세계 최고 지중해 식단 '한국식' 먹는 법 | 중앙일보매일 올리브유에 샐러드? 한국인에 맞는 이런 식단도 있습니다.\r식단 다이어트 한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쾌한 장애’ 이야기에도 악플 따라붙지만…미움은 꾸준할 수 없어요국제앰네스티·〈한겨레〉 협업기획 ‘미워해도 소용없어’ ② 장애인 유튜버 ‘굴러라 구르님’ 김지우‘유쾌한 장애’ 콘텐츠로 장애와 친해지기“휠체어 여행 유튜버 꿈꿔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