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주는 조정·가치주는 상승美선 정유주·금융주 본격반등韓도 배터리·로봇 테마주 약세소외됐던 보험·은행업 강세로
소외됐던 보험·은행업 강세로 전 세계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은 엔비디아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 오히려 미국 기술주 주가가 시들한 가운데 고유가 바람을 타고 정유주들이 연중 최고점을 넘보고 있다. 국내 증시에서도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격히 빠지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소외됐던 금융주 주가가 본격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순환매 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코스피는 1.2%, 코스닥지수는 4% 하락한 상황에서 KRX보험지수는 6.9%, KRX은행지수는 2.4% 올랐다. 특히 2분기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성장주 위주 장세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한 KB금융은 이달 들어 3.2%, 한국금융지주는 4% 상승했다. 또한 한화생명은 최근 2년간 배당이 없었는데 올해 배당을 개시하면 현재 주가에서 10% 수준의 배당수익률이 기대된다는 전망에 주가가 이달 들어 14.1% 상승했다. 반면 에코프로는 13일 90만원 선이 깨지며 3개월 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포스코퓨처엠도 이달 들어 10% 하락하는 등 상반기 상승장을 이끌었던 2차전지주들은 최근 들어 크게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다. KRX 2차전지 K-뉴딜지수는 이달 들어 4% 떨어졌다. 2차전지주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부장, 헬스케어, 로봇 테마주 등 성장주들도 밸류에이션 부담에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13일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1.7% 하락한 882.72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했던 포스코DX가 11.17% 떨어졌고 양자컴퓨터 테마주 우리로와 로봇 테마주 로보로보 등도 조정을 보였다.
이러한 성장주 조정과 가치주 반등은 미국 증시도 마찬가지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말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가이던스를 발표했음에도 이달 들어 9.4% 하락했다. 나스닥지수가 조정받는 중에 서부텍사스산중질유가 배럴당 90달러를 넘보자 엑손모빌이 이달 들어 5.6% 상승하고 금융주인 버크셔해서웨이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12일 새로 썼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나 2차전지와 같은 기술주의 올 하반기 영업이익 전망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2분기에 호실적을 내고 하반기 영업이익 전망치도 올라가고 있는 금융주들이 올 연말까지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윤창용 신한금융증권 리서치센터장은"반도체 업황 회복 시기가 시장 기대보다 늦춰지고 있고 2차전지 역시 실적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에 영업이익과 배당 측면에서 강점이 있는 정유·철강·금융 업종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며"시장의 호흡이 빨라지기는 했지만 최근의 순환매는 일시적이 아니라 연말까지도 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KT, 145만명에 ‘6월 요금’ 청구…새 대표 ‘서비스 퍼스트’ 강조 무색입력 실수, 8월 사용분 대신 6월 사용분 요금 청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변태스러움 사라졌다’ 평가받은 9월 모평 오류…‘뉴욕’ 대신 ‘도쿄’미국 뉴욕, 호주 시드니 비교 문항서 뉴욕 대신 도쿄 오다이바 사진 삽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울산교육청, 현장체험학습 사고 시 교사 대신 피고인 된다체험학습·수학여행 때 전세버스 이용으로 발생하는 문제, 교육청이 책임지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하이 디즈니랜드, 가을 맞아 미키·미니마우스 대신 선보이는 캐릭터 정체상하이 디즈니랜드가 가을 이벤트 ‘더피의 달’을 진행한다. 중국 여신망(旅新网) 등 외신에 따르면 상하이 디즈니랜드는 9월 한 달 동안 ‘더피의 달’을 콘셉트로 이벤트를 열고 있다. ‘더피(Duffy the Disney Bear)’는 곰인형 캐릭터로 외로움을 느끼는 미키마우스에게 미니마우스가 더플백에 담아 선물한 테디베어라는 설정이다. 상하이 디즈니랜드 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처리수' 대신 '오염수' 말 꺼낸 日 장관...결국 칼바람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의 1차 방류분 7천8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9조 손해봤다'…文탈원전에 '신한울1·2' 대신 LNG발전신한울 1·2호기 운영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여파로 5~6년 늦어진 탓에 이미 발생한 경제적 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세워진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신한울 1호기는 2017년 4월, 2호기는 2018년 4월 준공이 목표였다. 만약 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한울 1·2호기를 예정대로 운영했다고 가정할 경우, 예상 누적 발전량은 1호기 5만8377GWh(지난해 가동 전까지), 2호기 6만1811GWh(내년 가동 전까지)로 집계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