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이순신이 지은 시구가 새겨진 칼 한 쌍인 ‘이순신 장검(長劍)’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라는 뜻이 담겼다. 문화재청은 '충무공의 역사성을 상징하는 유물로 가치가 탁월하고, 조선 도검의 전통 제작기법에 일본의 제작기법이 유입돼 적용된 양상을 밝힐 수 있다'며 '칼날이 양쪽에 있는 일반적인 검과 달리, 휘어진 형태에 칼날이 한쪽만 있어 ‘도’라고 부르는 게 맞지만 칼의 격을 높이는 의미에서 ‘장검’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이순신이 지은 시구가 새겨진 칼 한 쌍인 ‘이순신 장검’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장검은 본래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됐던 칼이다. 두 자루의 칼이 한 쌍으로 되어 있는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으며 길이는 약 2m로 긴 편이다. 둘 중 한 칼날의 위쪽에는 이순신이 직접 지은 시구인 ‘삼척서천산하동색’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라는 뜻이 담겼다. 또 다른 칼에는 ‘일휘소탕혈염산하’라는 시구가 새겨져 있는데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는 뜻이다. 문화재청은 “충무공의 역사성을 상징하는 유물로 가치가 탁월하고, 조선 도검의 전통 제작기법에 일본의 제작기법이 유입돼 적용된 양상을 밝힐 수 있다”며 “칼날이 양쪽에 있는 일반적인 검과 달리, 휘어진 형태에 칼날이 한쪽만 있어 ‘도’라고 부르는 게 맞지만 칼의 격을 높이는 의미에서 ‘장검’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한편 문화재청은 추사 김정희가 남긴 마지막 난초 그림으로 여겨지는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등 총 4건의 유물도 보물로 지정했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불화인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청동으로 제작한 ‘파주 보광사 동종’, 불교 경전인 ‘불조삼경’이 각각 보물로 이름을 올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폭우·태풍·폭염 3중고에 물가고...'가격담합 NO'[앵커]최근 긴 장마와 태풍, 그리고 이어지는 폭염까지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도 미국 야속하겠네...살 만하더니 다시 움찔, 이유 알고보니일본 제조업 업황 석 달째 위축 국면 감소폭은 줄었지만 불확실성 여전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찰, '미성년 성 착취물 제작' 서준원 전 롯데 투수에 징역 6년 구형미성년자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는 롯데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찰, '미성년 성 착취물 제작' 서준원 전 롯데 투수에 징역 6년 구형미성년자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는 롯데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죽여줄게”…시끄럽다는 말에 칼로 협박한 50대 남성 실형동네 주민이 시끄럽다고 말하자 흉기를 들고 협박한 50대 남성이 실형을 선고받았다. A씨는 지난해 6월 오전 10시20분쯤 서울 강북구에 한 도로에서 술에 취한 채 고성을 지르던 중 인근 주택에 거주하던 B씨(22)가 '시끄럽다'고 반말을 하자 화가 나 부엌칼을 들고 협박한 혐의를 받는다. A씨는 B씨의 주거지를 향해 '내려와라, 죽여줄게'라고 말하며 흉기로 협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빼앗겼다가 부서졌다가…112년 만에 귀향한 '국보 석탑'일제에 빼앗기고 한국전쟁 때는 파손까지 됐던 '지광국사탑'이 112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왔습니다. 고려시대 가장 아름다운 탑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