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허용'을 위한 릴레이 챌린지를 제안했습니다.\r비대면진료 박재욱 스타트업
박 대표는 14일 페이스북에"어떤 상황에서도 아플 때 진료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진료를 지켜달라"며"지난 3년간 1379만 명의 국민이 이용한 비대면 진료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고 썼다. 그 이유로"코로나19 위기 경보가 곧 하향 조정되면 한시적으로 허용한 비대면 진료의 법적 근거가 없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심각' 단계 이상의 위기 경보가 발령될 때는 전화나 화상을 통한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2020년 2월 코로나19로 위기 경보 단계가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되면서 그동안 비대면 진료가 가능했던 것이다.
하지만 다음달이 되면 비대면 진료는 불법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예정된 세계보건기구 코로나19 긴급위원회에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가 해제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정부도 다음달 초 감염병 위기 경보 단계를 '경계'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비대면 진료가 가능했던 법적 근거가 사라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닥터나우, 굿닥, 솔닥 등 30개에 이르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이 직격타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말 기준 국내 총 1379만 명이 2만5697개의 의료기관에서 3661만 건의 비대면 진료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의료 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전반적인 이용에 만족을 표한비율은 87.9%에 달했다.그러면서"병원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도 의료진을 만날 수 있는 권리가 있어야 한다"며"비대면 진료가 중단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여러분의 힘을 모아달라"고 부탁했다.김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 '중국 견제에 반도체만큼 중요한 기술 없어' 한국에 협력 당부미국 국무부는 12일 중국이 군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첨단 반도체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 등 동맹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18재단, 광주·전남 지방의원 5·18민주화운동 교육5·18재단, 광주·전남 지방의원 5·18민주화운동 교육 5·18기념재단 오월학교 김형호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지원 '휴민트 '美 간첩' 냄새도 나… 발칵 뒤집힐 일'김성한 전 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사이 대화가 담긴 유출 문건에 '리포티들리'가 쓰인 걸 두고,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휴민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지원 휴민트 리포티들리 도청 한미동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산풀뿌리시민연대 '서산시의회, 사조직보다 못하다'서산풀뿌리시민연대 '서산시의회, 사조직보다 못하다' 서산풀뿌리시민연대 서산시의회 방관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