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럽·아시아·아프리카에서 잇따라 외교 공관을 철수한 북한이 재정난으로 전체 재외공관의 4분의 1가량을 폐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고 러시아 일간 ...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들어 아프리카 우간다와 앙골라, 홍콩, 스페인 등 4곳에서 운영했던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을 철수했습니다.전문가들은 북한이 중국 베이징과 랴오닝성 선양 등에 각각 대사관과 총영사관을 두고 있고, 홍콩이 중국의 완전한 통제 아래 있는 까닭에 홍콩 총영사관 폐쇄를 결정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 설립자 채드 오캐럴은"지금까지 북한이 앙골라, 우간다, 스페인, 홍콩에서 공관을 철수한 것으로 확인했다"며"이러한 폐쇄 절차는 앞으로 10∼12개 나라에 더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다만 북한은 자국에 상주하는 외교 대표단이 소속된 국가들에서는 계속해서 공관을 운영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캐럴은"북한에 24∼25개 국가 대사관이 있었지만, 코로나19 대유행 후에는 6∼7개만 남았다"며"몇몇 국가는 외교 대표단을 다시 보내고 싶어 하지만, 북한은 이를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북한은 지난달부터 시작된 재외공관 연쇄 철수 이유는 대북 제재 강화에 따른 재정난이 아니라 외교 역량의 효율적 재배치 차원이라고 주장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석탄 발전 폐쇄... '노동자는 이직 고민, 주민은 지역소멸 걱정'지난 2일 석탄발전 주변 주민 등 충남 내포혁신플랫폼에서 석탄발전 폐쇄 문제 토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월호 참사 해경 지휘부 무죄 확정…국가는 책임지지 않았다해경 12명 기소됐지만 ‘유죄’는 단 1명…이태원 참사 책임 규명에도 영향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규현 국정원장 '선관위 보안점검 '비공개 검증위' 설치 전적으로 동의'[국감-정보위] 국정원 "북한, 러시아에 포탄 100만 발 이상 제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北 홍콩총영사관 폐쇄 공식 확인…“결정 존중”중국 당국이 1일 북한의 홍콩 총영사관 폐쇄를 공식 확인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홍콩 총영사관 폐쇄 방침을 설명했느냐는 질의에 '중국은 북한의 홍콩 주재 총영사관 폐쇄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최근 홍콩 총영사관을 폐쇄하겠다는 뜻을 중국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 북한,홍콩,대북제재,중국,총영사관,더차이나뉴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블링컨 미 국무장관 8∼9일 방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한-미 동맹, 북한 등 폭넓게 협의 예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군, ‘북한, 러시아에 단거리탄도미사일 지원’ 징후 포착북한과 러시아가 지난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직전부터 무기 거래 동향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