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쓰지 못한 데이터 다음달에 사용'…정부, 통신 데이터 이월제 검토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다 쓰지 못한 데이터 다음달에 사용'…정부, 통신 데이터 이월제 검토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휴대전화 사용자가 한 달 동안 미처 다 쓰지 못한 데이터를 다음 달로 이월하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하고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일정 기간을 설정해서 한 달 내 다 사용하지 못한 데이터를 해당 기간 안에 이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차관은 '요금제가 지금 어느 정도 촘촘히 구성돼 있다는 전제 아래 중간 요금제보다는 요금제 단가 시작점을 낮추는 부분과 가입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요금제를 다양화하는 부분에 집중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휴대전화 사용자가 한 달 동안 미처 다 쓰지 못한 데이터를 다음 달로 이월하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하고 나섰다.박 차관은"통신 사업자가 내놓은 요금제를 '울며 겨자 먹기'로 가입하고 그것이 아니면 안 되는 상황에서 이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요금제로 가야겠다는 것이 기본 바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일정 기간을 설정해서 한 달 내 다 사용하지 못한 데이터를 해당 기간 안에 이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4만원대가 시작 점인 5G 요금제 하한선을 3만원대로 낮추는 방안과 저가 요금제 상품을 다양화하는 방안도 통신사들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박 차관은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내로 통신 3사가 5G 중간 요금제를 추가로 출시할 가능성은 작다고 봤다. 박 차관은"요금제가 지금 어느 정도 촘촘히 구성돼 있다는 전제 아래 중간 요금제보다는 요금제 단가 시작점을 낮추는 부분과 가입자 사용 패턴에 맞도록 요금제를 다양화하는 부분에 집중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5G 28기가헤르츠 대역과 관련해선"해외 사례를 보거나 미국 LA에서 찍어온 화면 등을 보면 기술적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하고 이를 현실화하려는 선진국들의 움직임도 분명히 있다"면서"앞으로 6G로 가기 위해서는 28㎓ 구축 노하우가 분명히 도움될 것이라는 정책적 판단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日, 오염수 데이터 1시간마다 한국어로 홈피에 올린다日, 오염수 데이터 1시간마다 한국어로 홈피에 올린다정부, 日오염수 방류 대응책IAEA와 정기적 화상회의최신정보 듣고 질의응답도한일간 이중 핫라인 구축해이상상황 발생시 즉각 통보정부 '실효적 모니터링 구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데이터 경제 전망 제시”…신정원, ‘코리아 핀테크 위크’ 참여“데이터 경제 전망 제시”…신정원, ‘코리아 핀테크 위크’ 참여한국신용정보원(신정원)은 오는 30일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서 ‘데이터 경제 시대 핀테크 산업의 빅퀘스천’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행사는 금융위원회가 주최하는 글로벌 핀테크 박람회로, 오는 30일부터 9월 1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다. 세미나를 통해 신정원은 핀테크 및 금융 산업에서의 인공지능(AI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익위 “남영진 전 KBS 이사장 청탁금지법 위반…검찰 이첩”권익위 “남영진 전 KBS 이사장 청탁금지법 위반…검찰 이첩”국민권익위원회가 법인카드 부정 사용 의혹을 받는 남영진 전 한국방송(KBS) 이사장에 대해 청탁금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보료 상습체납 지역가입자 내달부터 신규 대출 못받는다건보료 상습체납 지역가입자 내달부터 신규 대출 못받는다신용카드 발급·사용 제한 등금융거래 전반에서 불이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데이터 수집? 안돼'…뉴욕타임스·로이터·니케이 막았다 [팩플]'챗GPT 데이터 수집? 안돼'…뉴욕타임스·로이터·니케이 막았다 [팩플]오픈AI와 스태빌리티AI 같은 주요 AI 개발사들은 자사의 AI 모델이 어떤 데이터를 학습했는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데이터 추적 플랫폼 등이 챗GPT가 NYT·로이터·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의 뉴스 기사를 학습했다고 분석하자, 전 세계 언론사 2000여 곳이 참여하는 뉴스미디어연합(INMA)은 AI 학습에 뉴스가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 22일 한국신문협회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뉴스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신문협회 입장’을 내고 '정당한 법률 근거 없이 뉴스 콘텐트를 AI 학습에 이용하는 것은 언론사의 권리 침해'라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매 넘겨도 살 사람 없다”…‘울며 겨자먹기’ 임차인 ‘셀프 낙찰’ 급증“경매 넘겨도 살 사람 없다”…‘울며 겨자먹기’ 임차인 ‘셀프 낙찰’ 급증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경매로 넘긴 주택을 ‘셀프 낙찰’받은 경우가 급증하고 있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04: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