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걸이형·스탠드형 등, 종류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해봤습니다. 에어컨 전기료
올여름 하루 평균 10시간 가까이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4인 가족 기준 전기요금은 최대 14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에어컨 가동시간을 하루 평균 2시간씩 줄이면 에어컨 종류별로 최소 8320원∼2만3380원까지 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연합뉴스는 한국전력에 의뢰해 벽걸이형·스탠드형·시스템형 등 에어컨 종류별 사용 시간에 따른 요금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그 결과 월평균 283kWh의 전기를 사용한 4인 가구가 평균 수준인 하루 7.7시간 에어컨을 사용할 때 월 전기요금은 시스템형 12만2210원, 스탠드 분리형 10만3580원, 벽걸이 분리형 7만5590원 등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가구에너지패널조사에 따르면 에어컨 종류별 전기요금을 볼 때 시스템형이 kWh당 약 1.1원으로 가장 높다. 이어 스탠드 분리형, 벽걸이 분리형 등 순이다.만약 각 가구에서 에어컨을 1시간씩 더 가동해 하루 평균 8.7시간 쓴다면 전기요금은 시스템형 13만3900원, 스탠드 분리형 11만2710원, 벽걸이 분리형 7만9750원 등으로 오른다.에어컨을 하루 평균 2시간씩 더 가동할 경우 벽걸이 분리형을 제외한 스탠드형·시스템형 모두 월 전기요금이 10만원을 훌쩍 넘는다. 한전은 여름철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3단계 누진 구간의 상한을 단계마다 상향 조정한다. 즉 1단계는 0∼200kWh에서 0∼300kWh, 2단계는 201∼400kWh에서 301∼450kWh, 3단계는 401kWh 이상에서 451kWh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방기기 사용량의 증가로 누진 구간이 바뀌면 요금 증가 폭은 더욱 가팔라진다. 만약 월 전기 사용량이 3단계 누진 구간인 450kWh를 초과할 경우 3단계 요금 단가와 기본요금이 적용돼 요금 증가 폭이 커진다는 것이다. 한전은 “평소 전기소비가 많은 가구일수록 에어컨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올해 상반기의 2차례 요금 인상으로 부담이 가중된 취약계층과 소상공인·뿌리기업은 복지할인 제도, 전기요금 분할납부 제도 등을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수백 명품백 은행X 냄새'…루이비통 발뺌에 분통 | 중앙일보2017~2019년 무렵 '이 가죽'으로 제작된 제품이 주로 거론됩니다. 루이비통 냄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싱 가능성 있다'…국정원, '평양 사는 유미' 차단 나선 이유 | 중앙일보북한을 홍보해온 유튜브 영상을 국내에서 볼 수 없도록 조치했습니다.\r북한 유튜브 국정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타구니 쪽 기분나쁜 통증…손흥민도 피하지 못한 이 질병 [‘재활 명의’ 나영무의 진담] | 중앙일보스포츠 선수들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r건강 운동 스포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물이 있으나 없으나 ‘홋폿’은 ‘홋폿’이지 [맛없는 나라, 맛있는 이야기]영국에는 피시앤칩스나 샌드위치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믿기 어렵겠지만 '국물 요리' 도 있다. 스튜가 그것인데, 스튜란 국물(liquid)에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넣고 푹 익힌 음식을 총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국물+단백질+탄수화물의 조합인 셈인데 이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요리가 탄생한다.먼저 국물로는 육수, 채수, 와인이나 맥주, 아니면 그저 물을 쓸 수 있다. 단백질의 경우 소고기·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 등 각종 고기나 콩 등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뵈프 부르기뇽처럼 재료를 한 번 볶은 후 국물을 첨가하는 방식을 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