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산업 지각변동고성능 컴퓨팅·GPU 등 태부족아이디어 구현시킬 장비 절실韓제조업 생태계에 AI 접목해설계·공정 등 사업모델 고도화
설계·공정 등 사업모델 고도화 -한국도 인재 육성으로 여기까지 성장해왔는데, 첨단산업 분야에서 우리 인력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판단하나.
▷김 센터장=우리나라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갖춘 경쟁력은 충분하다. 다만 챗GPT나 딥시크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AI 모델을 개발하려면 고성능 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데이터 저장소, 그래픽처리장치, 텐서처리장치 같은 특수 프로세서 등 AI 인프라스트럭처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이게 너무 부족해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90년대 말~2000년대 초에는 창의적인 머리와 코딩할 수 있는 손, 뜨거운 가슴만 있으면 무료에 가까운 인터넷이란 놀이터에서 뭐든지 해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상당한 비용을 치르지 않고선 인프라를 사용하기 어렵다.-한국은 제조업을 기반으로 세계 10위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 AI 시대에 우리 산업 전략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한국 제조업은 AI를 통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다. 제품 생산 인프라에 AI를 접목해 한국만의 입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영역은 기업이 주도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선 국가 정책 자체가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 인재 육성, 공공 인프라, 법령 등에서 모두 AI를 염두에 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기업 입장에선 생성형 AI에 기반한 에이전트가 시장에서 각광받는 만큼 해당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새 비즈니스 잠재력을 찾아내야 한다.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땐 쓰러지는 기업들이 늘 있었다. 기존 승자들도 자칫하다간 새 비즈니스 모델을 장착한 기업에 밀려날 수 있다. AI가 단순히 질문에 대답하는 역할을 넘어 전 산업의 첨단 연구 생산성을 높이는 지식 도구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원전주는 연일 랠리중...AI·양자 신기술 필수요건은 ‘전력’트럼프 취임 첫 주 정책테마 ‘AI인프라 전력’ DS투자증권 “임기 초 전력 드라이브 걸 것” ‘콘스텔레이션’ 한달새 주가 50% ‘쑥’ SMR 오클로 5거래일만에 70% 올라 우라늄 채굴 기업 ETF도 동반 상승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민주당 주된 가치는 실용주의”...한일 관계 개선·한미일 협력 지속 의지 밝혀대중 외교·대북 정책 실용적 접근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개발사 오픈AI 샘 올트먼 CEO, 한국서 광폭 행보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한국에서 삼성, SK, 카카오, 크래프톤 등 주요 기업들과 AI 협력 논의를 진행하며 오픈AI 중심의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파원칼럼] 미국 AI 심장에 침투한 중국실리콘밸리의 중국계 미국인들美기업서 연구하며 AI 발전 주도그 덕에 美기술 접근 쉬워지고딥시크 개발하며 턱밑까지 추격한국도 中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금보다 이게 먼저”…벌써 1조어치 사재기, 부자 몰리는 이 자산관세전쟁에 안전자산 인기 초장기채 위주로 수요 몰려 100억원 투자한 슈퍼리치도 30년물 年수익률 7% 넘어 투자자들 “장기전으로 접근 향후 자녀에게 증여도 고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건축 쉽게 바꾸겠다”…부동산 표심 선점 나선 국민의힘, 강남·구도심 공략재건축 촉진법으로 ‘맞불’ 권성동 “건설경기 회복 시급” 野 “원주민 주거권 보장땐 재건축 활성화 100% 동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